-
-
대성당들이 희었을 때 - 새로운 시대의 탄생, 르코르뷔지에가 바라본 뉴욕의 도시
르 코르뷔지에 지음, 이관석 옮김 / 동녘 / 2024년 10월
평점 :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부동산에 관심을 갖다보니 건축이나 도시계획 등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 조금씩 알아가다 보니 이 세계도 마치 우주와 같아 셀 수 없이 많은 별들이 있다는 사실에 놀라기도 했다. 많은 사람을 알진 못하지만, 안도 다다오 같이 국내에 잘 알려졌으면서 친숙한 건축가도 있고, 롯폰기 힐즈를 개발한 모리빌딩, 지금은 대선에 다시 도전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등 몇몇 사람이 기억에 남는다. 한편 다른 많은 세계와 마찬가지로 건축계에도 '20세기 3대 건축 거장'이라 불리우는 인물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지난번 루이스 칸을 통해 인물세계를 탐구할 기회가 있었다.
이번에 읽은 책은 역시 3대 거장 중의 하나이자 검색시 제일 수위에 오르는 르 코르뷔지에가 남긴 '대성당들이 희었을 때'란 책이다. 책 초반부에는 그가 프랑스의 권위적이고 보수적인 분위기에 염증을 느끼는 장면이 나온다. 이어서 밟게된 미국 뉴욕땅에서 마천루와 길게 뻗은 도로등을 보며 자신이 바라던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깨닫는다. 하지만 도시화로 인한 여러 문제점들이 눈에 띄게 되고, 높이 솟은 마천루들을 보며 미국의 소심함을 비판하기도 한다.
책을 읽으며 르 코르뷔지에가 미국을 방문하면서 느꼈던 경이로움과 역동성을 곳곳에서 느낄 수 있었다. 도시를 빽빽이 채운 마천루와 쭉쭉 뻗은 파크웨이 도로, 그 위를 달리는 포드 자동차와 잡음없는 좋은 라디오, 자유로우면서도 생동감 넘치는 대학의 열기 등 모든 것이 제국주의 이후 쇠락해가는 프랑스와 대비되어 그에게 깊은 영감을 준 듯 하다. 여기에 변두리의 빈민가 및 흑인들의 열악한 주거환경, 집과 먼 직장, 도심의 혼잡 등을 더해 후일 빛나는 도시를 제안하는데 자양분이 되었다고 한다.
제목이 '왜 대성당들이 희었을때'인지 궁금했는데, 옮긴이의 말로는 '대성당이 희었을때'는 중세 대성당이 지어진지 얼마 되지 않았던 7C 이전으로 새로운 시대가 시작하던 시기에 해당한다고 한다. 르 코르뷔지에는 뉴욕이 그와 같이 새 시대의 시작이 되길 바라며 제목을 붙였던 것 같지만 오늘날에도 빈민가, 도심 혼잡 등 그가 지적했던 문제들은 여전하다.
소주제마다 생각할 거리가 많아 쉬이 읽히진 않았지만, 르 코르뷔지에의 생각들을 엿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던 것 같다. 도시계획, 건축에 관심이 많다면 꼭 한번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대성당들이희었을때 #이관석 #동녘 #르코르뷔지에 #건축 #도시계획 #프랑스 #미국 #신세계 #뉴욕 #마천루 #미국인 #브루클린 #필라델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