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환율 전쟁 - 세계 경제 패권을 향한, 최신 개정판
왕양 지음, 김태일 옮김 / 평단(평단문화사) / 2024년 9월
평점 :
21년 이후 장기 상승세를 보이던 환율 추세가 소폭 꺾이는 모습이다. 올해 들어서도 꾸준히 상승해 지난 7월말엔 달러당 1400원을 터치하는가 싶더니, 최근 한달새 꾸준히 하락해 1325원 수준까지 떨어졌다. 메르님의 블로그에서 언급된 것처럼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에 대한 기대감, 파월의 금리인하 인정 발언에 힘입은 세계 경기 연착륙 확률증가 등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사실 명확한 건 잘 모르겠다. 그간 경제공부를 꾸준히 해왔다고 자부하지만 환율은 보고 또 봐도 너무 어려운 것 같다.
이번에 읽은 책은 '환율전쟁'이란 책이다. 그동안 읽었던 금리나 환율 등 거시경제에 대한 책은 대체로 저자가 서구권 인사인 경우가 많았는데, 이번 책의 저자는 중국 칼럼리스트라고 해 호기심이 생겼고, 10여년전 출간된 책의 재출간판이라고 해 더 흥미가 생겼다.
저자는 화폐의 정의로 책을 시작한다. 화폐의 가치와 공급, 무역과 교환에서 결정되는 환율, 고정환율제와 자유변동활율제 등 4가지 환율제도, 정부가 조절하는 정책 3가지 등 환율에 대한 기초지식들을 소개한 뒤, 고대로부터 근대까지 이어져 온 다양한 환율전쟁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역사책속엔 많은 제국들이 융성하고 또 스러져간다. 그 과정에서 항상 주목받는 것은 군사력, 기술력 등 외적으로 보이는 국력이며, 한발짝 더 나아가도 정치나 제도, 종교 위주로 서술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경제력의 경우 단지 돈이 많다 적다 정도로만 표현되는 경우가 많았던 것 같다. 반면 이번 책에서는 잘 알려진 근현대의 브레턴우즈 체제, 소로스의 파운드 공격과 아시아 외환 위기 뿐만 아니라 송, 원, 청나라 등 잘 알려지지 않은 중국 고대 국가들의 경제와 무역, 외환에 대해서도 상세히 소개해 새로운 사실들을 많이 알 수 있었다. 한편 미국과 중국의 위안화 절상을 사이에 둔 힘겨루기등에 대해서도 자세히 다루어 흥미진진하게 읽을 수 있었다. 환율 외에도 채권과 금리간 상관 관계, 금과 은의 교환 비율이 각국의 무역과 역사에 미친 영향, 환율과 관련된 여러 경제학 법칙 등 지식을 쌓는데도 많은 도움이 되는 책이다. 경제에 관심 있는 분들께는 꼭 한번 읽어보길 권하고 싶다.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환율전쟁 #왕양 #김태일 #평단 #환율 #금리 #채권 #무역 #통화 #화폐 #금 #은 #지폐 #주화 #교환 #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