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가지 비즈니스 모델 이야기 - 성공하는 스타트업을 위한, 2024 에디션
남대일 외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벤처에 관심이 많다. 여러가지 목적이 있는데 첫째는 벤처 투자, 또는 비상장 기업 투자를 위한 정보수집 차원이고 두번째는 창업 아이디어 발굴이다. 현재는 직장인으로 잘 지내고 있지만 언젠가 도전하고 싶은 그때를 위해 어떤 아이디어가 있는지, 어떤 방법으로 매출구조와 고객가치를 창출하는지 등등을 배우고자 한다. 세번째는 실제 이용을 위해서이다. 요즘 보면 정말 신박한 사업이 넘쳐난다. 다만 내가 그런 서비스나 제품이 있는지 몰라서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충 이런 세가지 목적을 위해 여기저기 기웃거리는데 정보를 구하기 쉽진 않다. 기존엔 신문이나 인터넷 기사, 기업정보 잡지 등에서 정보를 구하다가 몇년전 더 브이씨란 서비스를 알게되어 종종 구경했다. 하지만 주로 시리즈단계나 유치 금액, 회사에서 제출한 정보나 기사 모음 위주이고 그것도 언젠가부터 무료로는 서비스 제한이 많아져 잘 이용하지 않게되었다.

최근 퍼스널MBA를 읽다가 가치창조 부분에서 가치의 표준 유형을 분류한 부분을 흥미롭게 읽었다. 책에선 경제적 가치를 상품, 서비스, 자원공유, 정기구독, 재판매, 임대, 대리인, 고객층 모집, 대출, 선택권, 보험, 자본의 12가지로 나누고 각각 이에 대한 설명을 덧붙였는데, 언뜻 설명은 이해가 되었지만 실제 기업들이 이들을 이용해 과연 어떻게 돈을 버는지 궁금해졌다. 이런 와중에 마침 내가 딱 원하는 답이 될 것 같은 '101가지 비즈니스 모델 이야기'란 책의 소식을 듣고 구해 읽어 보았다.
이 책은 기업을 효율성의 관점에서 가치사슬형과 플랫폼형, 사회적 가치 기반형 비즈니스 모델로 나누고 각 기업형태별로 캐스캐이딩해서 대표사례를 일일히 소개한다. 이어서 존슨, 크리스텐슨, 카거만 교수가 발표한 논문에서 제시된 분류 틀을 활용해 핵심가치, 수익공식, 핵심자원, 핵심프로세스 네가지의 요인으로 각각의 비즈니스 모델을 나누어 정리했다. 어떻게 보면 기존의 전통적인 기업들이 많이 수록될 법 한데 책에서는 대부분 생소하거나 어디선가 한번 들어본 정도의 스타트업, 해외기업 위주로 채워져 있다.

인상깊었던 기업은 헤어 서비스 언번들링 기업인 드라이바와 고객참여형 문제은행 집합형 플랫폼 콴다였다. 드라이바의 경우 헤어스타일링 비용이 비싼 해외에서 회원제로 보다 저렴하게 스타일링을 이용할 수 있으면서도, 구독 서비스와 프랜차이즈 사업으로 엮었다는 점이 기발했다. 여기에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위해 음료제공, 친구들과 같이 놀러갈 수 있고 영화까지 상영하는 등 브랜드 특화에 애를 많이 썼다고 한다. 어떻게 보면 하나하나의 개별 서비스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경험할 수 있고 다만 1회 이용료를 조금 더 저렴하게 했을 뿐인데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엑싯했다는 점에서 더 알아보고 싶은 궁금증이 들었다. 한편 콴다의 경우 고등학생 자녀를 둔 선배분께 한번 듣긴 했는데 에듀테크라는 넓은 도달가능 시장과 수학문제 OCR 서비스라는 차별점, 요즘 화제가 되었던 GPT를 접목하겠다는 성장성에서 앞으로 전망이 좋지 않을까 하는 호기심에 한번 이용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저자는 이 책이 세상의 모든 비즈니스 모델을 정리하여 단순 나열하는데 목적이 있지 않고, 스타트업을 꿈꾸는 사람들이 다양한 사업 모델을 영위하는 기업들을 보고 참고가 되길 바란다고 서문에 제시한 바 있다. 개인적으로도 비슷한 동기에서 읽기 시작했는데 책을 덮고 보니 정말 그 목적을 이룬 것 같다. 이런 보석같은 책이 출간된지 10년이나 지났는데 모르고 있던 내 안일함을 잠시 자조했다. 사업에 관심있는 분들께선 반드시 한번 읽어봐야 할 필독서이다. 강력히 추천한다.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101가지비즈니스모델이야기 #남대일 #김주희 #정지혜 #정혜민 #이민선 #비즈니스모델 #가치사슬형 #플랫폼형 #사회적가치기반형 #스타트업 #핵심가치 #수익공식 #핵심자원 #핵심프로세스 #한스미디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