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릴린 먼로, My Story 삶과 전설 2
마릴린 먼로 지음, 이현정 옮김 / 해냄 / 2003년 4월
평점 :
품절


고등학교때 도서관에서 라이프지의 영화편 화보집을 즐겨보앗다. 거기에서 본 먼로는 섹시한게 아니라 청순했다. 난 거만한척 도도하게 폼잡은 먼로 사진을 본적이 없다. 항상 백만불 짜리 가슴을 드러내고 약간 헤프게 웃고 있다. 그런 먼로를 보면 브룩클린으러 가는 마지막 비상구의 트랄라 를 볼 때 처럼 마음이 안스러워서 뭐라도 가져와 그 살들을 덮어주고 싶었다.

이 책을 읽으니 먼로와 동시대의 여배우인 캐서림 햅번이 생각났다. 엘리트 출신에다 뭇남성을 비웃어 줄만한 강하고 지적인 이미지의 (당대의 거의 유일한 여배우 이미지라고 한다) 그녀 같은 사람을 먼로는 얼마나 부러워 햇을까. 다 가진 자 그리고 함부로 업수이 여겨지지 않는 여성상을 말이다. 헵번과 비교하면 다시 먼로가 안스럽다.

또 이책을 읽으니 마돈나가 생각난다. 먼로의 이미지를 철저히 이용하면서도 그 관음증의 남성들을 다시 비웃어 줄 수 잇는 아마조네스로 태어난 여자. 본의든 아니든 마돈나 이미지는 내 생각엔 과연 남성들에 의해 소비되고 버림받고 죽어버린 먼로에 대한 그녀만의 오마주가 되어버린것 같아 통쾌하기 까지 한데..

이 책은 재미있다. 철저히 육체와 이미지만 소비되고 헌씩짝 처럼 버려진 그녀의 생애가 재밌단건 물론 아니다. 이 책은 과연 그녀가 썼을까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위트와 통찰력이 넘치며 하루끼 뺨칠만한 비유들로 넘쳐난다.(책을 빌려줘서 인용을 못하는게 안타깝다) 그래서 하는 얘긴데 활동중에 먼로가 불러준 얘기들을 누군가 글솜씨잇는 작가가 멋을 부려 다시쓴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결코 먼로의 지성을 의심해서가 아니라 ....)

먼로가 쇼비즈에 데뷔하던 당시의 이야기들을 들어보면 50년전이나 지금이나 여배우들의 성장과정은 다르지 않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된다. 대중에 의해 소비되기 전에 권력에 먼저 소비되는 것이다. 먼로처럼 빽없고 돈없는 여성은 더구나....

여기, 그 어떤 소공녀의 삶보다 그 어떤 빨강머리의 유년보다 더 처참했던 한 여자 . 하지만 신은 그녀에게 빛나는 육체를 주었고 그것으로 인생을 재기 했으되 그 안의 것을 보아주지 않는 , 누구도 진정으로 사랑해주는 한 사람 없었던 한 여자 스무번 낙태한 그 껍데기 스스로 벗어버란 한 여자 잠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