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포스터 북 by 에드가 드가 아트 포스터 시리즈
에드가 드가 지음 / arte(아르테)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디자인, 두꺼운 종이, 붓터치까지 보이는 인쇄 상태, 튼튼하면서도 깔끔하게 뜯어지는 제본, 큼직한 크기 모두 포스트 북으로써 만족스럽다. 모니터 속 작은 그림을 볼 때와는 그 감동의 크기가 다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더 포스터 북 by 오귀스트 르누아르 아트 포스터 시리즈
오귀스트 르누아르 지음 / arte(아르테)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귀스트 르누아르의 명화 포스터를 한 장 붙여놓는 것만으로도 그 장소의 분위기가 따뜻하게 바뀌었다. 여러 장의 포스터를 번갈아가며 즐길 생각을 하면 신이 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더 포스터 북 by 에드가 드가 아트 포스터 시리즈
에드가 드가 지음 / arte(아르테)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공간에 여는 작은 전시회'라는 테마로 아르테 출판사에서 출간되는 <더 포스터 북> 시리즈.

이번에는 오귀스트 르누아르와 에드가 드가의 작품을 각각 10장씩 담은 두 권이 세상에 나왔다.



A3 크기의 명화가 담긴 <더 포스터 북>을 직접 보니 크기가 커서 시원시원하기까지 했다.

비닐을 뜯어 책을 펼쳐보면 양쪽 날개가 책처럼 엮인 아트 포스터를 감싸고 있는 형태로, 오른쪽 날개에는 수록된 작품 사진과 간략한 작품 소개가 위치했다.



책에는 아래와 같은 작품들이 수록되었다.


<더 포스터 북 by 오귀스트 르누아르>

시골에서의 춤(Dance in the Country), 1883 / 도시에서의 춤(Dance in the City), 1883 / 잔 사마리의 초상(Jeanne Samary in a Low-Necked Dress), 1877 / 우산(The Umbrellas), 1886 / 두 자매(Two Sisters), 1881 / 신문을 읽는 모네(Claude Monet Reading a Newspaper), 1872 / 책을 읽는 두 소녀(Two Girls Reading), 1891 / 해변가의 소녀들(Young Girls on the Ricer Bank), 1894 / 아스니에르의 센 강변(The Skiff), 1875 / 뱃놀이하는 사람들의 점심 식사(Luncheon of Boating Party), 1881



<더 포스터 북 by 에드가 드가>

사진사 앞에 선 무용수(Dancer in Front of a Window), 1877 / 스타(The Star), 1877 / 휴식을 취하는 무용수들(Two Dancers Resting), 1874 / 무용화를 고쳐 매는 무용수(Dancer Fastening Her Pump), 1885 / 무용수들(Dancers), 1895 / 무용수(Dancer), 1880 / 무대 위의 두 무용수(Two Dancers on a Stage), 1874 / 무대 위에서의 연습(The Rehearsal Onstage), 1874 / 오페라좌의 무용실(The Dance Foyer at the Opera), 1872 / 연습실의 무용수들(Dancers at Rehearsal), 1877



사실 그동안 예술 계통의 책임에도 불구하고 실망스러운 인쇄 상태인 그림과 사진을 얼마나 많이 봐왔던가...

그래서 <더 포스터 북>도 펼쳐보기 전에는 반신반의했는데, 명화로 꽉 채워진 것부터 화가의 이름을 담아 감각적으로 디자인된 것까지 다양한 포스터를 한 장 한 장 넘기면서 명화의 질감이 드러나는 인쇄 상태를 보고 눈이 즐거워 만족스러웠다!

<더 포스터 북>은 작품의 느낌을 잘 전달할 수 있도록 권별로 다른 용지를 선택했다는 게 인상적이었는데, 두꺼운 종이 위에 인쇄된 그림을 보니 책의 목적을 염두에 두고 신경을 썼구나 싶었다.

그리고 이렇게 큼직한 명화를 눈 앞에 두고 보는 건 책에 자료로써 수록된 그림이나 모니터 속 작은 크기의 그림을 보는 것과는 느껴지는 감동의 크기가 다르다!



(스타 The Star, 1877 by 에드가 드가)


(책을 읽는 두 소녀 Two Girls Reading, 1891 by 오귀스트 르누아르)


(아스니에르의 센 강변 The Skiff, 1875 by 오귀스트 르누아르)


집과 방 분위기를 바꿀 때 조명, 침구, 그리고 사진이나 포스터 등을 이용하면 좋다고 하는데, 나는 이번에 <더 포스터 북>의 포스터를 활용하면서 그림 하나로 공간이 얼마나 화사해질 수 있는지, 다른 느낌을 낼 수 있는지 체감했다.

특히 자가가 아닌 경우 다른 인테리어는 부담스럽기 때문에 <더 포스터 북>을 셀프 인테리어로 활용하기에 딱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 포스터로 활용하기 전에 책을 보듯 포스터를 넘겨가며 한참 작품을 감상하니 오귀스트 르누아르와 에드가 드가의 작품은 둘 다 빛을 담고 있지만 오귀스트 르누아르의 작품은 따뜻한 빛이, 에드가 드가의 작품은 어둠과 빛의 대비가 두드러진다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전시회처럼 여러 작품을 벽에 붙여놓고 비교하며 감상해도 좋겠다고 생각했다.


나는 오귀스트 르누아르의 작품 중에는 '책을 읽는 두 소녀(Two Girls Reading), 1891'가 그리고 에드가 드가의 작품 중에서는 '스타(The Star), 1877'가 가장 마음에 들어서 또다시 둘 중 어떤 작품을 먼저 걸어놓을까 하는 행복한 고민에 빠졌다.

그리고 그렇게 고민 끝에 선택한 오귀스트 르누아르의 '책을 읽는 두 소녀(Two Girls Reading)를 휑했던 파벽돌 벽에 붙여놓았다.



포스터를 벽에 붙일 때 보니 (물론 액자에 넣으면 포스터가 더 오래가고 더 멋스럽기야 하겠지만) 포스터 종이가 두껍고 빳빳해서 액자에 넣지 않아도 벽에 밀착이 잘 되고 허술해 보이지 않다는 점도 좋았다.

재미있는 게, 책 형태로도 감상할 수 있는 포스터를 뜯으려니 아까워서 망설이면서도 막상 포스터를 뜯을 때는 깔끔하게 분리되어 떨어져서 쾌감이 느껴지는 이상한 경험을 했다. 



휑했던 벽에 아름다운 그림이 들어오니 포스터를 활용하기를 잘 했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 앞을 지나갈 때마다 명화 감상도 하고 공간에 작은 변화가 찾아온 것만으로도 기분이 좋아졌다.

<더 포스터 북> 한 권당 10장씩 포스터가 수록되어 있으니 교체도 하고 다른 구성으로 꾸미기도 하면서 즐겨야겠다.

계산해보면 온라인 서점 기준으로 장당 2300원, 2500원 정도 하는 셈인데, 크기, 디자인, 종이, 인쇄 상태, 제본 모두 만족스러워서 그 값을 톡톡히 하는 포스터들이다.





<이 리뷰는 서평단으로 지원하여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더 포스터 북 by 오귀스트 르누아르 아트 포스터 시리즈
오귀스트 르누아르 지음 / arte(아르테)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공간에 여는 작은 전시회'라는 테마로 아르테 출판사에서 출간되는 <더 포스터 북> 시리즈.

이번에는 오귀스트 르누아르와 에드가 드가의 작품을 각각 10장씩 담은 두 권이 세상에 나왔다.



A3 크기의 명화가 담긴 <더 포스터 북>을 직접 보니 크기가 커서 시원시원하기까지 했다.

비닐을 뜯어 책을 펼쳐보면 양쪽 날개가 책처럼 엮인 아트 포스터를 감싸고 있는 형태로, 오른쪽 날개에는 수록된 작품 사진과 간략한 작품 소개가 위치했다.



책에는 아래와 같은 작품들이 수록되었다.


<더 포스터 북 by 오귀스트 르누아르>

시골에서의 춤(Dance in the Country), 1883 / 도시에서의 춤(Dance in the City), 1883 / 잔 사마리의 초상(Jeanne Samary in a Low-Necked Dress), 1877 / 우산(The Umbrellas), 1886 / 두 자매(Two Sisters), 1881 / 신문을 읽는 모네(Claude Monet Reading a Newspaper), 1872 / 책을 읽는 두 소녀(Two Girls Reading), 1891 / 해변가의 소녀들(Young Girls on the Ricer Bank), 1894 / 아스니에르의 센 강변(The Skiff), 1875 / 뱃놀이하는 사람들의 점심 식사(Luncheon of Boating Party), 1881



<더 포스터 북 by 에드가 드가>

사진사 앞에 선 무용수(Dancer in Front of a Window), 1877 / 스타(The Star), 1877 / 휴식을 취하는 무용수들(Two Dancers Resting), 1874 / 무용화를 고쳐 매는 무용수(Dancer Fastening Her Pump), 1885 / 무용수들(Dancers), 1895 / 무용수(Dancer), 1880 / 무대 위의 두 무용수(Two Dancers on a Stage), 1874 / 무대 위에서의 연습(The Rehearsal Onstage), 1874 / 오페라좌의 무용실(The Dance Foyer at the Opera), 1872 / 연습실의 무용수들(Dancers at Rehearsal), 1877



사실 그동안 예술 계통의 책임에도 불구하고 실망스러운 인쇄 상태인 그림과 사진을 얼마나 많이 봐왔던가...

그래서 <더 포스터 북>도 펼쳐보기 전에는 반신반의했는데, 명화로 꽉 채워진 것부터 화가의 이름을 담아 감각적으로 디자인된 것까지 다양한 포스터를 한 장 한 장 넘기면서 명화의 질감이 드러나는 인쇄 상태를 보고 눈이 즐거워 만족스러웠다!

<더 포스터 북>은 작품의 느낌을 잘 전달할 수 있도록 권별로 다른 용지를 선택했다는 게 인상적이었는데, 두꺼운 종이 위에 인쇄된 그림을 보니 책의 목적을 염두에 두고 신경을 썼구나 싶었다.

그리고 이렇게 큼직한 명화를 눈 앞에 두고 보는 건 책에 자료로써 수록된 그림이나 모니터 속 작은 크기의 그림 보는 것과는 느껴지는 감동의 크기가 다르다!



(스타 The Star, 1877 by 에드가 드가)


(책을 읽는 두 소녀 Two Girls Reading, 1891 by 오귀스트 르누아르)


(아스니에르의 센 강변 The Skiff, 1875 by 오귀스트 르누아르)


집과 방 분위기를 바꿀 때 조명, 침구, 그리고 사진이나 포스터 등을 이용하면 좋다고 하는데, 나는 이번에 <더 포스터 북>의 포스터를 활용하면서 그림 하나로 공간이 얼마나 화사해질 수 있는지, 다른 느낌을 낼 수 있는지 체감했다.

특히 자가가 아닌 경우 다른 인테리어는 부담스럽기 때문에 <더 포스터 북>을 셀프 인테리어로 활용하기에 딱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 포스터로 활용하기 전에 책을 보듯 포스터를 넘겨가며 한참 작품을 감상하니 오귀스트 르누아르와 에드가 드가의 작품은 둘 다 빛을 담고 있지만 오귀스트 르누아르의 작품은 따뜻한 빛이, 에드가 드가의 작품은 어둠과 빛의 대비가 두드러진다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전시회처럼 여러 작품을 벽에 붙여놓고 비교하며 감상해도 좋겠다고 생각했다.


나는 오귀스트 르누아르의 작품 중에는 '책을 읽는 두 소녀(Two Girls Reading), 1891'가 그리고 에드가 드가의 작품 중에서는 '스타(The Star), 1877'가 가장 마음에 들어서 또다시 둘 중 어떤 작품을 먼저 걸어놓을까 하는 행복한 고민에 빠졌다.

그리고 그렇게 고민 끝에 선택한 오귀스트 르누아르의 '책을 읽는 두 소녀(Two Girls Reading)를 휑했던 파벽돌 벽에 붙여놓았다.



포스터를 벽에 붙일 때 보니 (물론 액자에 넣으면 포스터가 더 오래가고 더 멋스럽기야 하겠지만) 포스터 종이가 두껍고 빳빳해서 액자에 넣지 않아도 벽에 밀착이 잘 되고 허술해 보이지 않다는 점도 좋았다.

재미있는 게, 책 형태로도 감상할 수 있는 포스터를 뜯으려니 아까워서 망설이면서도 막상 포스터를 뜯을 때는 깔끔하게 분리되어 떨어져서 쾌감이 느껴지는 이상한 경험을 했다. 



휑했던 벽에 아름다운 그림이 들어오니 포스터를 활용하기를 잘 했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 앞을 지나갈 때마다 명화 감상도 하고 공간에 작은 변화가 찾아온 것만으로도 기분이 좋아졌다.

<더 포스터 북> 한 권당 10장씩 포스터가 수록되어 있으니 교체도 하고 다른 구성으로 꾸미기도 하면서 즐겨야겠다.

계산해보면 온라인 서점 기준으로 장당 2300원, 2500원 정도 하는 셈인데, 크기, 디자인, 종이, 인쇄 상태, 제본 모두 만족스러워서 그 값을 톡톡히 하는 포스터들이다.





<이 리뷰는 서평단으로 지원하여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주와 공주는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대 Wow 그래픽노블
케이티 오닐 지음, 심연희 옮김 / 보물창고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배우 키이라 나이틀리는 미국의 한 토크쇼에서 클래식 디즈니 영화의 여성상에 문제를 제기하며 <신데렐라>나 <인어공주>같은 일부 디즈니 영화를 딸에게 보여주지 않는다고 했다.

(신데렐라는) 부자 남성이 자신을 구해줄 것을 기다린다. 그러지 마라. 내가 나를 구하면 된다. 당연하지 않은가.

(인어공주에 대해서는) 노래가 너무 좋은 건 사실이다. 하지만 남자 때문에 내 목소리를 포기한다고? 이건 아니지 않나.

(출처 : https://www.bbc.com/korean/news-45910663)


고전 디즈니 영화뿐만 아니라 동화를 포함한 책까지 시대에 뒤처진 여성상과 고정관념을 담은 매체는 아직도 많고, 또 아무렇지도 않게 보이고 읽히고 있다.

하지만 키이라 나이틀리처럼 매체에 담긴 내용이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알고 경계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런 사람들이 반가워할 그래픽노블이 출간되었다.



앞서 서평한 케이티 오닐의 그래픽노블 <티 드래곤 클럽>에 페미니즘과 퀴어 요소가 녹아든 방식이 마음에 들었기에 작가의 또다른 그래픽노블인 <공주와 공주는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대>는 출간되기 전부터 읽어보고 싶었고 기대가 된 책이다.

<공주와 공주는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대>는 <티 드래곤 클럽>과는 조금 다른 분위기로 미국 애니메이션을 떠올리게 하는 선명한 그림체로 그려졌다.



이야기는 유니콘 셀레스트를 타고 모히칸 머리를 한 아미라 공주가 라푼젤처럼 탑에 갇혀있던 세이디 공주를 구하면서 시작된다.

처음에 세이디가 아미라를 보고 또 왕자가 자신을 구하러 왔다고 생각했을 만큼 아미라의 차림새는 기존에 우리가 공주의 옷차림하면 떠올리는 것과는 거리가 있고, 왕자나 남성인 기사가 공주를 구하러 온다는 틀에 박힌 설정을 비틀어서 아미라가 나무 위에서 도움을 요청하는 블라드릭 왕자도 구했다.

이렇게 아미라, 세이디, 블라드릭, 아미라의 유니콘 셀레스트 그리고 세이디와 함께 지내온 작은 용 올리버가 함께 하게 된다.



 "오늘 우리 공주들이 참 잘하지 않았습니까?"

 "네, 왜 그러셨죠?"

 "왜 그랬냐니, 그게 무슨 말이에요?"

 "당신은 왜 그렇게 용감해지려는 데 집착하죠? 당신한테 그런 모습을 기대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어요. 그냥 편하게 살면 되잖아요!"

 "멍청이. ...혹시 그쪽도 공주가 되고 싶은 겁니까?"

 "아니에요! 사실, 나는 가족에게 많은 압박을 받거든요. 왕자라면 이래야 한다면서 하기 싫은 일들을 시키고..."

 "예를 들면요?"

 "...거인을 죽이라든가."

 "이런, 하하! 뭐, 부모님이 기대하는 대로 살기란 어렵다는 거 이해해요.... ...하지만 그 화풀이를 왜 우리한테 합니까."


p.28-29, 아미라와 블라드릭의 대화

왕자는 고정관념에 사로잡혀 도움이 필요한 순간에도 공주에게는 도움을 받지 않겠다고 말했지만, 그 또한 고정관념 때문에 원치 않는데도 거인을 잡으러 가야 했다.

가스라이팅 때문에 기죽어있던 세이디는 모험 중 마을을 부수는 거인 문제를 해결할 때 이해심과 문제 해결 능력을 보였고, 더 이상 가스라이팅에 당하고만 있지 않는다.

세상이 공주에게 원하는 모습이 무엇인지 알게 된 아미라는 그것에서 벗어나 스스로 자신의 자리를 만들기 위해 떠났다.

 "뭘 믿고 여기까지 온 거지, 세이디? 우리 둘 다 알잖아. 너는 뚱뚱한 울보 어린애라는 걸 말이야."

 "그럴지도 모르지.... 하지만 네 말만 듣고 스스로를 나쁘게 생각하지는 않을 거야! 다시는 날 그렇게 몰아가지 마!


p.39, 마법사와 세이디의 대화

이들이 세이디를 가두고 가스라이팅을 하던 마법사와 담판을 지은 후, 세이디는 백성들의 사랑과 지지를 받아 여왕이 되기 위한 공부를 하고 자신이 배울 것이 많음을 깨달은 아미라는 배움을 위한 여정을 떠났는데, 이들이 각자의 자리에서 열심히 노력하고 세이디 아미라 장군과 세이디 여왕으로서 (그리고 왕실 고문이 된 블라드릭도) 다시 만나는 결말은 '그들은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그 자체였다.

기다려도 괜찮아요.... ...난 알고 있거든요. 우리가 다시 만나게 되면... ...그땐 더 이상 공주가 아닐 거란 사실을요.


p.44

등장인물들의 성장하는 모습과 대사에 녹아든 페미니즘과 퀴어 요소는 우리의 고정관념을 깨뜨리고, 이러한 선택지도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그리고 이들의 이야기는 내가 알고 있는 고전적인 동화를 읽을 때보다 더 가슴을 따뜻하게 만든다.

아이들은 물론이고 어른들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동화 같은 그래픽노블이고, 앞으로는 이런 이야기들이 많이 보이고 읽혔으면 좋겠다.



이로써 케이티 오닐 작가의 그래픽노블은 두 권을 읽게 되었는데 모두 만족스러웠고, <공주와 공주는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대> 역시 작가의 다음 책도 기대하게 했다.

그래서 아직 온라인 서점에는 등록되지 않았지만 출간 예정인 케이티 오닐의 다른 작품 <바닷속 유니콘 마을>을 이 책을 덮는 순간부터 나는 기다리고 있다.




<이 리뷰는 서평단으로 지원하여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