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제기사 궁금증 300문 300답 - 불확실성의 시대, 경제기사 속에 답이 있다, 2025 개정증보판 ㅣ 300문 300답
곽해선 지음 / 혜다 / 2024년 12월
평점 :
* 이 리뷰는 서평단으로 지원하여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
날이 갈수록 경제가 어려워지고 있다는 소식만 들린다.
이런 때일수록 경제를 더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이렇게 생각하는 게 나뿐만은 아닌지 곳곳에서 경제 공부를 해야겠다는 말도 들려오고 새해 목표로 삼기도 하는 게 보인다.
경제는 그 이름부터가 어렵게 느껴지고 생각만 해도 머리가 아프지만 우리 삶과 떼어놓을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다.
그래서 마음 먹고 한번 제대로 부딪치기로 하고 어디부터 시작하면 좋을지 찾아보면, 많은 이들이 ‘경제 기사’를 꺼낸다.
경제 + 기사가 입문용이라고…? 이게 맞아…?
안 그래도 어렵게만 느껴지는 ‘경제’를 딱딱한 이미지의 ‘기사’로 공부하라니 이게 입문용 맞아…? 싶지만, 기사라는 게 자료를 바탕으로 입증된 내용을 분명하게 전달하기 위해 쓰이는 것이니 양질의 재료임을 의심치 않고 한번 읽어본다.
읽는 데 특별한 방법은 없고, 그래도 살면서 책 좀 읽었으니 큰 어려움은 없겠지 싶어 그냥 쭉 읽어보는 게 다다.
흠… 어디 금리 인하 소식에 주가가 요동치고 환율이 어떻게 되고… 그런데 금리가 인하된 게 환율하고 무슨 상관이지?
또 미국 금리가 인하됐는데 우리나라 주가가 왜 이러는데?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분명히 읽었는데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모르겠다… 이게 문제다, 양질의 정보도 쓸모 없어진다.
경제 기사를 읽으면서 저와 같은 의식의 흐름을 가졌던 분… 나와 그분들을 위해 나온 것이나 다름 없는 책이 있습니다요.
<경제 기사 궁금증 300문 300답 2025개정 증보판>
책 제목을 보고 경제 기사를 읽으면서 생긴 이런 궁금증을 풀어줄 책이라는 건 예상했다만… 펼쳐보니 그 이상을 했다.
일단 이 책은 (용어 찾아보기 제외) 680여 페이지나 되는 벽돌책인 만큼 많은 양의 정보를 담고 있어서, 경제 기사를 읽으면서 가려웠던 부분들, 예를 들면 경기가 좋아졌다는데 왜 물가는 오르는지, 미국 금리가 오르내리는데 왜 우리나라 주가가 오르내리는지 등을 시원하게 긁어주는 것은 물론이고, 그보다 더 나아가 경제 분야의 기본 지식을 탄탄하게 쌓고 경제 흐름을 읽을 수 있도록 하나하나 알려주는 선생님이다.
띠지에 경제학 교과서라고 적혀있지만 솔직히 그동안 교과서임을 자부하는 책 중 정말 교과서 같다는 생각이 드는 책은 얼마 없었는데, 이 책은 교육과정에 넣어야 하는 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내용이 충실하고 유용해서 교과서였으면 했다.
경기는 어떻게 흐르는 건지, 물가는 왜 오르내리는 건지, 유가가 왜 언급되는 건지,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이 왜 문제인 건지, 금리에 관련된 모든 것들과 예금부터 사채까지 금융에 대한 것들, 주식과 채권, 환율과 국제 무역, 그리고 각종 경제 지표 읽는 법까지… 책에서 배울 수 있는 굵직한 것들만 떠올려도 이 정도니까 과연 교과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도 책제목에 ‘경제 기사’가 있는 만큼, 곳곳에 짧은 경제 기사를 넣어둔 것도 눈에 띄지만 과하지 않아 부담이 없다.
방대한 분량인 만큼 부담스러울 수도 있는 첫인상에 비해 실제로 읽어나가다보면 어라? 싶을 정도로 무겁지가 않다.
경제를 파악하는 데 필요한 내용을 다 다루면서도 너무 깊게 파고들지는 않아서 깊이 조절을 잘 했다는 인상이다.
조급하게 생각하지 말고, 하루에 몇 페이지씩 읽다보면 어느새 끝을 보고 있을 그런 책이라고나 할까?
과연 해가 가도 계속 개정되면서 명맥을 이을 만한 책이다.
그 덕분에 잘 다듬어지기도 하고 최신 트렌드가 반영되었고.
2025년 한 해가 시작되고 올해에는 경제 공부를 해보자고 마음 먹었다면 이 책과 함께하는 것은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