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생은 살 만하다
나혜옥 지음 / 두드림미디어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치매 엄마와 사이 좋게 늙어가는 법-이란 소 제목으로 써 있지만 치매 어머니의 이야기는 그렇게 많이 담겨 있지만 않다. 친정 엄마의 이야긴 그렇게 자주 등장을 하지 않다 보니 다른 이야기의 중심이 많았다.

가족의 이야기를 담아 가면서 IMF문제로 빚 문제로 인하여 치열하게 삶을 살아간 이야기를 담아 갔다. 치매 시어머니와 함께 살아간 이야기를 담아갔다. 큰 아들의 adhd판정을 받았을 때 미안해 하는 마음과 엄마로서의 역할을 해낸 과정을 담겨 있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란 글로 시작을 한 것은 아마도 그렇게 살아 온 인생들이라도 나는 지금도 행복을 꿈꾸는 삶을 살아가는 인생이다." 라는 마침표처럼 들리는 글 이었다

치매는 나의 부모님께서도 설마 노년에 오실까 하시는 염려가 있으시다. 치매에 있어서 상대(환자)의 입장을 말아 한다는 것이다. 집에 가고 싶다고 할 때, 우린 그들이 엄청나게 불안과 고통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우린 불안할 때 빨리 집에 가고 싶어 한다. 치매이신 어른도 마찬가지다. 

나도 곧 사회복지사가 된다. 이분의 구체적인 방법은 자신이 살아온 역사를 글로 쓰면서 인생 전체를 돌아보는 것이다. 글 쓰기라는 과정을 통해 나 자신에게 숨 돌릴 시간을 주고, 스스로를 위로하는 것이다.

또한 인생 후반에 이루어나갈 버킷리스트를 작성해 하나씩 이루어가며 삶을 더 음미하는 것이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때는 바로 지금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가족은 어디서부터 잘못된 걸까
골디락스 지음 / 시공사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녀노소 누구를 막론하고 결코 피해갈 수 없는 가족 문제를 본인의 경험을 여과 없이 밝힘으로써 들려주는 이야기가 공감이 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돌봄의 온도 - 엄마를 직접 돌보는 요양보호사의 지혜 지속가능한 가족돌봄의 회복탄력성
이은주 지음 / 헤르츠나인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로의 마음이 다르게 뜻대로 되지 않아도 엄마는 내일 웃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돌봄의 온도 - 엄마를 직접 돌보는 요양보호사의 지혜 지속가능한 가족돌봄의 회복탄력성
이은주 지음 / 헤르츠나인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의 부모님도 나이가 들어가시다 보니 돌봄의 관계가 되어 가는 중을 부모님이 느껴가는 것을 서로가 느껴지고 있다. 난 사회복지사가 되어가면서 엄마 아빠의 돌봄 관계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는 사회가 되었다. 우리 사회에서 어떠한 현실을 돌봄을 하면서 안심을 할 수 있는지 요양보호사로서 일하는 저자의 경력이 담겨있는 이야기가 있다.

어떠한 분은 치매 모친 곁에서 모시면서 홀로 돌봄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음식을 하게 되면서 레시피의 아이디어나 글을 그때마다 쓰셔서 일기의 이야기가 위로가 되기도 하면서 엄마의 소중한 이야기를 듣게 되기도 한다.

여기서 또한 저자는 따로 사시면서 일을 하고 순서를 돌아가면서 당번을 정하는데 조카가 할머니와 함께 하게 되면 너무 젊은 방식의 위주로 (조카의 전지적 시점)하게 된다는 것이 맘에 안 든다는 글도 담겨 있다.

치매와 질병으로 고생하는 피 돌봄인 매일매일 급변하는 기분을 어루만지며, 오르락내리락하는 병환의 차도를 세심하게 관찰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사고에 대처하는 일은 요양보호사로서 당연히 감당해야 할 일이지만, 이게 우리 엄마의 일이라면 다른 이야기가 된다.

나의 엄마도 치매 만은 피하고 싶어 하신다. 치매의 미래가 너무 좋은 이야기가 없다 보니 버려질까 우려하시는 것이 먼저인 것이다.

치매는 나도 어떻게 이해를 하여야 할지 아직도 모르는 분야이기도 하다. 이렇게 읽다 보니 요양원에 계시는 할머니의 생각이 난다. 저자는 목욕을 한번에 다해 주지 않는다고 한다. 짧은 시간 동안 목욕을 하면서 다 할 수 없다고 한다. 그러면 힘이 빠져서 걸을 수 없게 되고, 기운이 쇠퇴한다고 한다.

엄마는 항상 가실 때마다 예약제가 맘에 안 든다고 투덜 했는데, 이젠 요양보호사의 이분 글을 읽어 가면서 왜? 할머니가 요양원의 생활에서 어떠한 일상을 보내실지 조금은 알아갈 수 있었다.

말기암이라 얼마 시간이 없다는 진단에 여태 모시던 숙모께서 요양원에 보낸 것인데 엄마는 화가 덜 풀린 것이다. 어떠한 선택이든 난 중립이다. 내가 힘들 때 지지해주신 숙모다. 엄마는 딸로서 엄마(할머니)를 보는 입장이 다르기 때문이다.

아마 우리 사회의 돌봄이라는 것을 누군가의 희생을 해야만 하는 것으로 지정을 하는 것을 만든 역사적인 것이 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가족은 어디서부터 잘못된 걸까
골디락스 지음 / 시공사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족이라는 병이란 책이 있었다. 당신들은 나에게 가족, 가족 하면서도 나에게는 한번도 가족의 느낌을 느끼지 않았다. 왜 그럴까? 아빠/엄마는 어릴 때 항상 부부 싸움이 잦았다. 그걸 보면서 자란 환경 속에서 불안정한 나의 사고는 점점 마음의 갈피를 잡지 못하면서 남자에게 믿음이 가져 보지 못하게 된다.

내 자식은 

금쪽 처럼 아낀다고 하지만 다섯 손가락 중에 여섯 손가락처럼 필요 없는 존재의 손가락도 있다. 자식이 보는 부모와 부모 눈에 보이는 자식의 모습은 확연하게 달라질 수 밖에 없다. 

부모 마음 자식 모르고, 자식 마음 부모 또한 모른다고 한다. 이러한 서로의 소통이 어긋난 시점에서 우리는 어떻게 연결점 찾아 가는 것이 좋은 선택의 방향인가 알아가야 하는데 이러한 가족의 상황이라면 어느 순간에도 가족의 잘못된 실타래 풀어내기란 정말로 어려우면서 상담사 도움이 있다면 어느 정도 계기의 이해가 될 수 있다.

난 읽어가면서 점점 빠져 들게 되었다. 나의 가족 이야기를 여기서 듣는 느낌이 들었다. 아빠랑 오랜 기간 대화 자체를 해 온 적이 없었다. 그러다가 말로 싸우다가 그간 서운한 감정들을 쏟아낸 적이 있었다. 그럴 때 왜 그땐 얘기를 안하고 지금에 와서 하느냐 그러시곤 한다. 왜 그럴까? 그땐 참을만하다가 이것들이 쌓이고, 쌓여서 폭발이 되어 버린 것이다. 

<불행한 가정은 제 각각의 사정을 가지고 있다.> 는 '안나 까레리나'의 첫 줄이 생각이 난다. 

가정마다 불행은 누구의 의한 것인지 무구한 사연을 띄울 수 있는 삶이 팍팍해지고 모든 것이 경쟁으로 치닫는 사회에서 잘 이겨내고 싶은 당신에게, 누군가의 아이였고 누군가의 소중한 금쪽이였던 당신에게, 남녀노소 누구를 막론하고 결코 피해갈 수 없는 가족 문제를 본인의 경험을 여과 없이 밝힘으로써 들려주는 이야기가 공감이 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