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1 - 신화를 이해하는 12가지 열쇠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1
이윤기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0년 6월
평점 :
일시품절


이 책은 교양서로 한번쯤 읽을 필요가 있는 그리스 로마 신화를 바탕으로 해서 글쓴이가 나름대로 신화를 재해석하고 살을 덧붙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글쓴이는 소설가 번역가 등 다방면에서 유명하고 잘 알려져 있으며, 특히 일반 독자들에게는 유명한 외국 소설을 번역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고, 꾸준한 작품 활동을 하고 계신 분이다. 그러나 이 책은 글쓴이의 명성과 달리 내용이 기대에 못미치는 느낌을 준다.

신화라는 것은 방대하고 깊이있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그리스 로마 신화를 다루는 많은 책들은 발생 순서대로(연대순) 세계의 창조와 신의 탄생, 역사의 발전을 소개한다. 이 과정에서 서양 문화의 발전, 역사의 변천 외에도 여러 단어의 파생 배경 등을 배울 수 있다는 점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책,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는 주제별로 묶은 여러 가지 이야기를 '옛날 이야기'처럼 재미있게 꾸민 의도는 좋았지만 신화의 많은 내용을 생략하고 중요한 부분만을 수록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을 준다. 역사의 현장을 답사한 생생한 사진과 글쓴이의 독특한 해설은 책을 읽는데 도움을 주지만, 신화 자체의 깊이있는 내용과 지식을 쌓기에는 분명 부족한 점이 아닐 수 없다.

책의 제목도 '그리스 로마 신화'라고는 되어 있지만 그리스 신화와 로마 신화가 신의 이름을 제외하고는 비슷하다는 이유 때문인지 실제로 로마 신화의 측면에서 해설하는 것은 물론이고 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신의 이름을 비교해서 보여주는 경우도 많지 않아, 이 점 또한 약간의 아쉬움을 준다. 다만, 실제로 신화를 재구성하는 작업에서 현장을 답사하고 보여주고 그 느낌을 좀 더 생생하게 전달하려는 글쓴이의 의도는 매우 훌륭했다고 생각한다.

또 한 가지, 비록 사회 전반의 의식이 '개방적'으로 변하고는 있다고 하지만, 신화의 성적인 측면을 자주 부각시킨 접근은 그다지 좋아 보이지 않는다. 글쓴이의 의도가 성적인 면을 부각시킨 것이 아니라 신화에서 나오는 문명의 발전과 번영을 상징하는 내용을 해설하려고 했던 것이라 할지라도, 그리스 로마 신화는 청소년과 아동에게도 매우 유용한 교양서임을 이해한다면 좀 더 받아들이기 쉬운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지 않았나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