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놈 - 23장에 담긴 인간의 자서전
매트 리들리 지음, 하영미 외 옮김 / 김영사 / 2001년 1월
평점 :
절판


기술의 급격한 발전은 생명까지도 인간의 손으로 다룰 수 있는 시대를 가져왔다. 이미 실험용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많은 연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고, 부분적이긴 하지만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생명 공학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이는 건강하게 오래 살고자 하는, '생명'에 대한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잘 실천해가고 있는 셈이다. 이런 시대의 흐름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생명 공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우리의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훌륭한 책이 등장했으니, 바로 이 책이다.

이 책은 인간의 유전자를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완전한 분석이 끝나기 전에 출판된 것이라 최신 정보를 담고 있지는 않다. 또한 글쓴이의 연구 결과나 업적을 토대로 한 책은 아니다. 그러나, 글쓴이는 유명한 저널리스트이자 국제생명센터의 회장으로, 풍부한 지식을 바탕으로 해서 지금까지 있었던 관련 사건과 연구 결과 등을 재미있게 엮었다.

이 책은 사람의 염색체를 하나씩 순서대로 설명한다는 점에서 우선 흥미를 끈다. 도대체 인간의 염색체는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일까? 각 장의 제목을 보면 각 염색체들이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과거의 사건과 현재의 연구 결과를 보여주면서 진행하는 방식은 일반적인 독자들이 지루하지 않게 읽으면서 유전자의 기능을 이해하고 생명 공학의 중요성을 느끼게 해준다.

좀 더 흥미로운 사실은, 우리의 다양한 질병, 성별, 사회성, 삶과 죽음, 심지어 성격 등 모든 것들이 염색체라는 작은 세계에 밀집되어 있다는 점이다. 글쓴이의 의도가 무엇이든 간에, 이 작은 염색체를 통해 우리 사회의 단면을 볼 수 있다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 이 작은 세계에서 출발한 우리의 모습이 마치 실제 사회를 이루어가는 느낌이다.

생명 공학의 중요성이 더 강조될 앞으로의 세상에서 지식과 교양을 쌓는다는 의미로 읽어볼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는 책이겠지만, 무엇보다도 우리 자신의 근원이 되는 실체를 파악한다는 점은 '반드시'라는 말을 붙이지 않더라도 본능적으로 끌리는 이유가 아닐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