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스타 칼니스의 아이들 1
김민영 지음 / 황금가지 / 199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앞의 서평에서 이음)

사실, 이 작품은 우리 모두의 이야기이다. 단순히 재미와 작품이라는 관점을 벗어나, 이 책이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를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최근에도 종종 전해지는 '가상 현실'과 실세계의 혼란에서 오는 여러 사건들은 제쳐두고라도, 앞으로 점점 더 비인간적으로 변해갈 현실을 따끔하게 비판하는 것이다. 실제로 '팔란티어' 정도의 수준은 아닐지라도 이미 국내외에는 많은 게임들이 있고, 꼭 이런 게임이 아니더라도 사람들은 컴퓨터와 인터넷, 가상의 세계에 묻혀 살거나 또는 현실 도피의 방법으로 이런 도구들을 애용한다. 아마 앞으로는 점점 더 개인 위주의 세상이 되면서 이런 현실 도피의 방법, 순간적인 쾌락 위주의 변화가 늘지도 모른다. 다행히 우리에겐 원철과 욱과 혜란이 보여준 절망 속의 희망과 사랑이 있고, 작가는 그것을 주제로 보이고 싶었던 것 같다.

이렇게 현실과 가상을 주제로 한 작품들은 많다. 그러나 이 작품은 다른 것에서 느낄 수 없는 인간미를 충실하게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를 인정하고 싶다. 첨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서 변화된 미래의 모습과 거기에서 발생하는 재미있는 사건들만을 나열하는데 그치지 않고, 항상 글의 중심을 인간적인 측면에서 풀어간다는 점이 매우 마음에 들었다. 보로미어의 사랑과 실바누스의 희생이 가상 현실 속의 분신을 넘어, 우리가 진정으로 가져야 하는 모습을 일깨워준다고나 할까?

일부 곤란한 묘사와 후반부의 어색함(혜란의 과거, 욱의 조사 과정, 국환의 일)이 있긴 했지만 훌륭한 작품이었다. 이 소설이 영화로 만들어질 때, 멋진 연출과 작품으로 탄생하기를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