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그라피아 - 위대한 작가들의 창조적 열병
앨리스 플래허티 지음, 박영원 옮김 / 휘슬러 / 2006년 2월
평점 :
품절


 "나는 어쩌면 나와 내 주변에 일어나는 일들, 심지어 내 머릿속과 꿈속 일들까지도 깔끔하게,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자 하는 욕구 때문에 글을 쓰는지도 모른다."

 이 책의 앞 여백에 쓰여 있는 내 조각글이다.

 김정운의 책을 읽고 읽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생각나서 책을 펼쳐보니 온통 책갈피 표시 띠지가 빽빽하게 붙여져 있다.

 

책 시작 전에

"창조적인 작가란 다름 아닌 글쓰기에 문제를 겪는 사람이다. -롤랑바르트르"

라는 한줄 글이 쓰여 있다. 그리고 서문 '창작과 정신병, 그 치명적 만남에 대하여"에서 작가는 쓰고 있다.

"글쓰기는 인간이 이룩한 가장 뛰어난 업적이다."

"글은 우리로 하여금 특이한 경험을 하게 만든다."

 

 나는 지치도록 글을 쓰는 내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 이 책을 읽기 시작했고, 위로가 되었다. 서문의 꼭지글 '한밤중에 걸리는 신성한 질병, 하이퍼그라피아'에서

 

 "어떤 의미에서 보면 모사하도록 만드는 힘은 아름다움이 아니라 두뇌이기도 하다. 다빈치의 정교한 손동작에서부터 아름다운 대상을 바라보는 인지능력에 이르기까지 두뇌의 많은 부분은 자신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 중에서도 미적 표현에 대한 심리적 욕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위가 있다.

 그 첫 번째가 귀 뒤쪽에 위치한 한 쌍의 측두엽이다...창조적인 글쓰기와 놀랄 정도로 큰 연관성을 가진 두 번째 뇌 부위는 변연계이다...측두엽과 면연계는 문학이 아닌 다른 예술 분야에서도 미적 욕구의 밑바탕이 된다...

 글쓰기에 대한 나의 정열과 함께 이 책에는 의사라는 내 직업적 특성도 반영되어 있다. 나 자신이 하이퍼그라피아를 직접 겪었고 그 경험은 내 환자에게도 영향을 끼쳤다...

 이처럼 하이퍼그라피아는 질병인 동시에 내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경험이었으며, 지금도 여전히 그러하다."

 

이라고 밝히고 있다.

 글쓰기를 멈출 수 없거나 나처럼 지칠줄 모르고 글을 쓰는 이들에게 탐독해보기를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