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를 훔친 미술 - 그림으로 보는 세계사의 결정적 순간
이진숙 지음 / 민음사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시, 책은 도끼다를 통해 읽게 되었다. 금박으로 그림으로 보는 세계사의 결정적 순간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책을 펴면 이 책에서 마주할 순간들’이 나온다. 1416년의 랭부르 형제의 <베리 공작의 매우 호화로운 기도서> 컬러 그림과 짧은 설명으로 시작해서 1993년 케테 콜비츠의 <죽은 아들을 안고 있는 어머니>까지, 600년 가까이의 세계사 속의 그림들을 한눈에 훑어보게 돼 있어 마음에 들었다. 책 시작하는 글 <‘세계의 살을 다루는 예술, 인간 자취로서의 예술사>1.2.3.4으로 나눠 쓰고 있다. 그 중에

 

당신과 나를 아우르는 방대한 집필 프로젝트는 결코 쉽지 않은 작업이었다. 그럼에도 감행할 수 있었던 까닭은 당신과 나 사이에 분명히 존재하는 어떤 것 덕분이다. ‘당신사이에는 무엇이 있는가? ‘가 있다. 당신과 나를 하나로 묶어 주는 and는 바로 이야기다. 이야기는 힘이 세다. 이야기는 당신과 내가 함께 이해할 수 있는 공감대를 만들어 내는 다리다. 이야기는 멀뚱멀뚱한 타인이었던 당신을 내 곁으로 오게 하는 마법의 도구다. 나는 이야기의 힘을 믿는 사람이다. 그 힘에 대한 믿음을 한순간도 잊은 적이 없다. 이야기는 지식과 지혜를 동시에 전달하는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다.”

 

라는 작가의 생각에 매우 깊이 공감한다. 꽤 긴 시작하는 글이 끝난 다음 차례가 나오는데, 1에서 23까지의 숫자가 매겨져 있다. ‘인쇄술 혁명이 촉진한 종교개혁“1448년 구텐베르크가 발명한 금속 활판 인쇄술은 종교개혁의 불쏘시개 역할을 했다...텍스트는 혁명을 가져온다는 논리의 첫 번째 예가 바로 종교개혁이다.”(103)는 평소 읽고 쓰기를 멈출 수 없는 나 자신 때문에 고개가 끄덕여졌다.

책의 중반부쯤 개인의 탄생에서

아마 17세기에 그려진 많은 기적 같은 그림들 중에서 가장 낯설고 독창적인 그림 중 하나가 바로 렘브란트의 자화상들일 것이다. ‘자화상이라는 용어도 없던 시대에 렘브란트는 유화 사십여점, 동판화 삼십여 점의 자화상을 남겼다...어떻게 표현하고 기록하든 렘브란트의 유일한 관찰대상은 바로 . 렘브란트에게 라는 개념은 자명한 것이 아니었다. 불명확한 자아에 대한 탐구는 종교개혁과 더불어 시작되었다...렘브란트에게 있어 렘브란트란 영원한 소재이자 주제다.”

 

 자화상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화가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닐 것이다. 소설가들도 그들이 쓴 소설 속에 수많은 자화상이 그려져 있다고 생각된다. 이어서 이 글의 마무리 부분에(182쪽)

 

팔십 년을 상회하는 긴 시간을 살면서 우리는 자신에 대한 확신 없이 타인과의 변덕스러운 관계 속에서 스스로를 찾아가는 과정에 있고, 그 속에서 무한한 기쁨과 절망을 느껴야 한다. 렘브란트가 앓았던 그 고독과 불안이라는 병을 우리 역시 앓는다.”

 

는 부분은  포스트잇에 따로 적어 붙여두었다.

  마지막으로 소개하는 작품 케테 콜비츠의 <죽은 아들을 안고 있는 어머니>는 독일에 여행가게 되면 꼭 직접 보고 느끼고 싶은 작품이다. 전쟁 희생자를 위한 기념관에 설치된 이 작품은 천정에 구멍이 뚫려 있어 눈비를 맞고 있다.  책은 다음 문장으로 끝난다.

 

우리가 역사를 공부하는 이유는 과거의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 인류의 오래된 굼을 확인하고 그 꿈을 이어 가기 위해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