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창석 작가의 초기 소설집 슬픈 열대비늘 천장만큼 강렬한 느낌을 주지는 않았다.

소설집에는 총 8편의 중단편이 실려 있다. <슬픈 熱帶1·2><화살과 구도><體罰法><파리情事><하이스쿨맨><머리가 둘인 사내><滿船歌>이다. <화살과 구도>는 중편으로 작가의 등단작이고, <체벌법>은 이전에 읽었던 작품이었다.

  ≪슬픈 열대책이 절판이라 인터넷 중고서점에도 없어 구하지 못하고 빌려서 읽기 시작했다. 남의 책을 읽지 못한 성향이라 결국 알라딘 중고 서점에 딱 한권 올라있는 책을 구해 이어서 읽었다. 표제작 <슬픈 열대>는 학생운동을 하던 남자들이 성인이 되어 만나 벌이는 일이었는데, 이야기의 흐름이 느슨하게 읽혀졌다. <화살과 구도>는 노동현장에서의 초창기 노동쟁의에 대한 이야기였다. 제목이 아리송해서 읽는 내내 제목을 왜 그렇게 지었을까를 생각하게 했다. 개인적으로 재미는 <파리정사>였다. 선거에 미치다시피 한 한 노인(전우치)이 파리정사 장면에 빠져드는 장면이 특히 좋았다.

  “이따금 부는 바람에 실려 마당을 가득 메운 만개한 코스모스가 마루 위로 향기를 뿌리는 것 같았다. 물 펌프 뒤 죽은 대추나무 가지 사이로 빠져나온 햇볕은 파리에게 환상 같은 명암을 그려 넣었다. 저녁놀빛이 스며든 꽃잎 같은 두 날개 쪽에는 작은 영혼이 깃든 듯하고, 수 시간을 버텨온 여섯 개의 다리는 찬란한 노동의 축제를 열며……아아, 외설은 없고 경건만 남은, 탐욕은 없고 사랑만 남은, 원시의 몰두여, 긴긴 행려여…….”

 

 노인의 마지막에 다음과 같은 말이 인상적이었다.

감히 예전엔 이렇듯 아름다운 광경에 취한 적은 없었소. 속눈썹처럼 가늘고 짧은 털로 싸여진 다리가 마루를 완강하게 짚고 있었던 거요. 그 위로 비스듬히 돌을 포갠 듯한 두 마리의 모습이 빼어난 건축물처럼 정교했소. 가끔 부는 바람에 화환처럼 둘리운 코스모스가 향기를 뿌려주고 죽은 대추나무 틈새로 빠져나온 햇빛은 환상 같은 명암을 그려 넣었소. 저녁놀빛이 스며든 꽃잎 같은 날개에서 작은 영혼을 만날 수 있었소.”

  글 속에 따로 ( ) 처리한 부분은 편집상 이유가 무언지 궁금했다.

  책 주문할 때 슬픈 열대라는 검색어를 넣으니까 고갱의 <슬픈 열대> 책이 있어 같이 구입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봄동 2018-01-16 19: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로 쓸려고 했는데, 상품 등록이 안돼 있어서 페이퍼에 등록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