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정
산도르 마라이 지음, 김인순 옮김 / 솔출판사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날 소설을 읽을 수가 없었다. 언제부터였는지 굳이 되짚어보면 서른 이후가 아니었을까. 특히 결혼 이후. 얼마 전에 지인들과 이야기를 나누다가 우스갯소리로 말했다. "어쩌면 내 삶이 소설과 다르지 않았기에 소설이 재미없지 않았나 싶어요." 단편소설은 그나마 문학상 수상작품집이나 신춘문예 등을 통해 조금씩 접했으나 장편소설은 아주 드물게 읽었다. 누군가 그랬다고 했다. '책 읽는 여자는 위험하다'고. 장편소설을 읽다보면 그 말이 생각난다. 재미있는 장편소설을 잡으면 일상을 작파하게 된다.

 이번에 읽은 산도르 마라이의 <열정>이 그랬다. 276쪽에 목차 대신 20개의 번호가 달린 소설을 말 그대로 단숨에 읽다시피 했다. 번호로는 정확히 중간인 10을 기준으로 주인공인 장군이 친구 콘라드를 만나기까지70여년의 시간을 거슬려 기억하고, 친구를 만나 친구에게 자신의 생각을 들려주는 걸로 이야기는 끝이 난다. 단 하루 동안의 일이다. 전날 오전에 시작해서 다음 날 오전이 채 되기 전까지.

 

 "그런 일들은 먼훗날 비로소 다시 생각난다. 몇십 년이 흘러가고, 누군가 세상을 떠난 어두운 방 안을 거닐고 있으면, 갑자기 오래 전에 사라진 말과 파도 소리가 들려온다. 마치 그 몇 마디 말이 삶의 의미를 표현했던 것처럼 생각된다."

 

 내 삶에 그런 일이 있었는지 까마득히 잊고 있다가 어느 날 불쑥 떠오를 때가 있다. 그제서야 그 일이 내 삶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깨닫고는 잠시 멍해진다. 그런 일들이 한 둘이 아니다. 나이가 들수록 세월이 갈수록 새록새록 떠오르고, 되새기고, 정돈하고, 스스로를 납득시키고서야 잠잠해지기도 한다. 소설의 주인공 역시 어느 날, 떠나가버린 친구를 기다리며 떠올린다. 어머니와 함께 쇼팽을 피아노로 연주한 친구를 두고 아버지와 주고받은 말이 오랜 세월이 지난 뒤에야 이해했음을.

 

 "콘라드는 절대로 훌륭한 군인이 못 될 거다."

 "왜요?"

 아들은 놀라 물었다.

...

 "그가 다른 종류의 사람이기 때문이지."

 

 다른 종류의 사람이었던 그 친구로 인해 주인공은 사십일 년 동안 자신을 저택의 한 켠에 유폐시켜버린다. 그리고 말한다.

 

 "참 신기하게도 기억은 쌀과 뉘를 골라낸다네. 십 년, 이십 년이 지나보면, 커다란 사건들은 사람의 내면을 하나도 변화시키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어. 그런데 사냥 갔던 일이나 책의 한 구절, 아니면 이 방이 어느 날 불현듯 떠오르네. 우리가 마지막으로 함께 이 곳에 있었를 때는 세 사람이었지. 그 때는 크리스티나가 살아 있었어."

 

 사십일 년을 두 가지 질문을 묻기 위해 기다렸지만, 결국 답은 독자가 짐작해야 한다. 소설의 마지막에 주인공은 말한다. "다 부질없는 일이지."

 

 헝가리의 대문호 산도르 마라이라는 작가를 알게 되어 기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