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 없이 떠나는 101일간의 음식의 세계사 지도 없이 떠나는 101일간의 세계 문화 역사 17
박영수 지음, 노기동 그림 / 풀과바람(영교출판) / 201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 지도 없이 떠나는 101일간의 음식의 세계사 >>

 

지도 없이 떠나는... 시리즈를 만나면서 정말 재밌게 그 주제에 대한 내용들을 볼수 있는 책이라 생각했어요.

음식으로 세계사를... 다양한 주제들을 깊이 있게 볼수 있는 책인데 생각보다 지도없이 시리즈가 정말 많더라구요.

이번 책을 읽으면서 다른 책들과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특히 세계 다른 나라에 대해서 말이죠.

첫 마디가 '살기 위해 먹는가, 먹기 위해 사는가?'라는 철학적인 질문이 나옵니다.

그렇듯이 우리에게 먹는 다는 의미는 단순한 음식 이상의 것을 이야기 하고 있죠.

그리고 다른 나라를 가면 가장 먼저 접하게 되고, 가장 빨리 이해할수 있는 매계체가 음식에 있지 않나 싶어요.

멀리 떨어져 있어도 음식에서 공통점을 느낄수 있고, 또 그 나라 고유의 역사와 문화를 알수 있게 해주는것이 음식인것 같아요.

제목에서 볼수 있듯이 빵과 함께 떠나는... 그래서 세상의 빵들이 모두 만날수 있는 푸짐한 여행이 될수 있었어요.

일본과 중국 그리고 아시아는 어떤 점들이 있는지 한 나라 한 나라를 보면서 공통점과 그나라의 문화들을 음식과 함께 볼수 있네요.

유럽, 아메리카, 그리고 러시아와 그리고 우리의 한국 입맛을 알아봅니다. 마지막 101일째 여행에서 만나는 비빔밥은 왠지 모를 뿌듯함을 느끼게 해줬어요.

얼마전 텔레비전에서 우리 음식 문화를 소개 하는 이야기가 나왔는데 김치, 불고기등 사람들이 많이 아는것외에 새롭게 비빔밥을 이야기하는데

정말 그속에서 색감과 다양한 의미가 담겨있었음을 다시한번 알게 되었던 기억이 있었어요.

한국의 조화로운 맛을 보여주는 비빔밥은 조화의 맛이라고 하는 말이 딱 맞다는 생각을 했어요.

골동반에서 유래해서 처음 1880년 <이의전서>라는 문헌에서 언급되었다고 합니다.

지어놓은 밥에사 반찬을 섞어서 비빈 음식을 뜻하는 부빔밥.

프레첼에 관한 책을 읽은 적이 있어서 아이가 정말 재밌어 했는데 부시 대통령을 기절시킨 빵 과자라니.

 먹다가 숨구멍을 막아서 더욱 유명해진 빵과자.

미국인들이 저지방 저칼로리 과자로 생각하여 경기나 텔레비전을 볼때 간식으로 즐겨 먹고 있는데 오늘은 이 과자를 먹으면서 책을 읽어볼까 생각중이에요.

재밋는 음식과 함께 떠난 세계의 여러나라.

새로운것들이 정말 많고, 우리와 가깝고, 자주 먹고는 있지만 그 유래나 문화를 알고 먹음 더 의미있지 않을까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