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괜찮다"가 아니라 "나는 잘못되지 않았다"라는 말로 바꾸어야 합니다. 자기 위로를 자기 판단으로 바꾸어야 합니다. 그리하여 왜 불안하게 느끼는지 그 원인을 생각하고, 내가 느끼는감정이 과한 것인지 아닌지, 정당한지 아닌지를 이성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야 합니다. "나는 잘못되지 않았다"는 판단을 하게 되면 불안을 느끼게 한 원인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생각할수 있게 됩니다. 감정-이성 행동의 일치가 이루어지는 것이지요.
이 또한 지성의 힘이 강할 때 가능한 일입니다. 지성의 능력이 자존감과 관련이 높은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저는 "나는 잘못되지 않았다"는 말이 참 좋습니다. 내가 이혼을했어도 승진에서 밀렸어도 주변인들이 무례하게 대해도, 잘못되지 않았다는 자기 개념이 있으면 큰 상처를 받지 않고 나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억지로 괜찮다는 자기 위로가 아닌 나는 잘못되지 않았다는 자기 개념이야말로 손상된 자존감을 회복하는 혹은자존감을 위로 끌어올리는 시작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하는 것, 꿈꿔왔던 일, 생각하면 미소가 떠오르고 가슴이 뛰는 목표가 있는가?그렇다면 그것들을 모두 눈에 잘 보이는 곳에 두어라. 눈에 띄는 차트를 만들고, 목표 달성을 차근차근 잘 보여주는 코치와 운동을 하고, 생각을 종이 위에 옮기고, 감사일기를 쓰면서 나는 내 삶의 구체적인 실체를 점점 알아볼 수 있게되었다. 무엇이 행복이고 무엇이 성공이고 무엇이 소중한지 나는 이제 쉽고 명확하게 알아볼 수 있게 되었기에 절대 놓치지 않을 자신이생겼다. 이것이 내가 얻은 인생의 가장 큰 수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공은, 성공한 후에 찾아오지 않는다. 성공은 ‘동시적인 상태다.
열심히 일하며 꿈을 향해 뛰는 동시에 가족과 따뜻한 대화를 나누고,
땀흘리는 운동을 하고, 소중한 사람들의 안부를 챙기고, 좋은 책을읽고, 깊은 잠을 자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생각이 너무 많다.
스콧은 늘 자신에게에서 일어나는 온갖 고민과 사건으로 정신력이 뿔뿔이 흩어지고시드 지나치게 고민한다. 심지어 지금 하면 될 일을, 왜 이걸 당장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까지 생각한다.
스콧은 말한다. "자신이 왜 이렇게 바쁜지 늘어놓고, 지금 해야 할 일을 자꾸만 이유를 대면서 미루는 것은 수작에 불과하다. 재미없는일이지만 해야 할 때, 나쁜 소식을 전하거나 누군가를 해고해야 할때 나는 스콧, 수작부리지 말고 빨리 할 일을 해‘라고 외친다. 이러한자기 지시는 반박하기가 어려워진다. 핑계나 수작을 만드는 데 인생의 절반쯤 쓰는 사람들이 이 세상에 절반쯤 된다."
나는 강도 높은 운동을 해야 할 때 스콧의 ‘할 일을 하라‘를 떠올린다. 이 메시지는 모든 핑계를 눌러준다. 자신에게 이런 지시를 할 때카리스마 돋고 뭔가 진지해지고 뭔가 멋있는 느낌이 든다. 과장하자면 마치 거부할 수 없는 신탁을 들은 기분이다.
"해야 할 일을 하는 것, 그것이 모든 시도와 도전의 기초 체력을 만들어준다. 자꾸만 달아나려는 몸과 마음을 단번에 확 일깨우는 각성 의 메시지를 가진 사람이 결국 원하는 목표를 손에 넣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은 그런 사람이다. 내 사랑에 최선을 다한 사람.
나는 이별에 아파하는 당신은 당신으로서 얼마나 좋은 사람인지를 알았으면 좋겠다. 그리고, 그 가치를 알아봐주는 사람을 만나 오직 행복한 사랑만 하기를 기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