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의 제국 가야 - 잊혀진 왕국 가야의 실체
김종성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한국 고대사의 변방에 있었던 가야에 대한 조명이
방송과 서적 등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즈음애
잊혀진 왕국 그리고 비밀의 왕국이라는 베일에 쌓여있던 가야의 실체에
좀 더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파헤쳐간 책이 출간됨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동아시아의 허브로써 고구려 백제 신라와 패권을 다툰 가야왕국이
출현하고 융성하고 사라져간 약500년의 역사를 묻혀있던 사료와 고증을 바탕으로
아시아의 맹주였던 가야를, 그리고 오늘날에도 결코 무시할 수 없는
가야민족의 혼을 살려내고 있습니다.
한국 고대왕국의 발전은 한민족 토착세력과 외래세력의 연대로 이루어졌음을
고조선과 고구려 등 고대왕국들 건국일화들을 사례로 알 수 있습니다.
고조선의 건국 과정은 토착세력과 북방세력의 결합으로 이루어졌고,
고구려 또한 외래세력인 고주몽과 토착세력인 연타발 집단의
정략적인 연합을 통해 건국되었습니다.
이렇게 고대왕국들의 건국과정에서 나타난 토착세력의 힘을 무시하지 않는다면
고대왕국 가야 또한 김수로와 허황옥 둘 만이 건국의 주역이 아니라
무시할 수 없는 가야의 토착세력과의 공존위에 세워졌음을 알게 합니다.
가야는 9간이라는 아홉 추장의 지배를 받던 비옥한 땅에 외래세력인 김수로의
등장으로 가야의 건국신화는 시작됩니다.
월등한 철기문명으로 보유한 북방 외래세력의 출현은 토착세력에게 위기감을
주기에 충분한 위세와 힘을 보여주었던 것 같습니다.
6개의 황금알에서 탄생한 신화는 김수로 집단과 토착세력의 이해관계와
지지과정을 신화적으로 보여주는 일례로
어떠한 무력충돌도 없이 타협을 통하여 가야를 건국하기에 이릅니다.
하늘에서 온 사람들이란 말은 즉 북방에서 온 사람을 이르는 말로
하늘에서 내려온 황금알 6개의 도래가 정치적인 건국신화로 재창조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금관가야를 다스리는 김수로와 대갸야, 소가야, 아라가야, 고령가야,성산가야를
다스리는 5군주 체제의 연방국가였던 가야는
토착세력의 눈에는 낯설고 가공할 만한 존재로 인식되었기에
토착세력은 무기력하게 김수로의 정치적 패턴을 바라볼 수밖에 없었습니다.
한나라에 붙잡힌 흉노족 김일제의 후손들이 조정의 실권을 잡고,
뒤이어 신나라를 세웠다가 남부로 이동하여 가야국을 세웠다는 역사적 추적에
놀라움을 갖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김수로가 흉노족 출신이라는 사실을 여러가지 문헌과 사례를 토대로
증명해내고 있습니다.
북방민족의 유물들이 가야국의 지배하에 있던 김해지역에서 출몰한
증거들로 미루어 충분하다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또다른 외래세력인 석탈해 집단의 출현은 김수로 에게는
부담이 가는 경계해야할 대상이었습니다.
아마도 캄차가 반도의 어로집단인 석탈해와 김수로의 대결에서 석탈해는
신라로 추방을 당하게 되지만 이것이 신라와 가야를 이어주는
인연으로 이어지고 가야가 멸망하게 되는 시발점이 된다는 것은
가야 문명의 건설 초기에 문명에 동참하고자 했던 개척자인 석탈해 집단에게
신라로의 추방은 이후 석탈해가 신라의 권력을 오르고 가야와 적대적인
관계를 가지면서 기어이 가야를 멸망시키지만,
신라의 주요 관직을 장악한 엘리트 집단은 역시 가야인의 핏줄이라는 사실은
가야는 비록 역사에서 사라졌지만 가야의 혼은 신라의 혼이되고
그 신라의 혼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역사의 커다란
수레바퀴를 보게되는 경이적인 경험을 하게 합니다.
우리나라 10 퍼센트의 성씨를 차지하고 있는 단일성씨인 김해김씨가
김수로의 후손들이라는 점은 김수로가 다스렸던 가야왕국의 혼이 현대에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또 다른 제 3의 세력인 허황옥 집단 신생 가야의 건설에 동참하게
되는 배경에는 신나라 멸망 이후 반체제 운동이 만들어준 인연으로
아유타국의 공주라는 보주태후 허황옥과 김수로는 비밀리에 접촉을 하면서
두 외래집단의 혼인을 통한 결속으로 신생 가야를 철기문화로 꽃피우게
하는데 일조하게 됩니다.
인도반도의 아유타국이 어디인지 확실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허황옥이 인도인 이라는 사실은 허황옥 집단의 이동경로로 추정되는 곳마다
발견되고 있는 쌍어문의 출현으로 알 수 있었습니니다.
북방민족과 남방의 문명이 가야라는 복합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집단으로
형성되고 발전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가야문명이 가지고 있는 절대적인 힘과 주변국들과의 조율은 동아시아의 허브로써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한때는 신라와 백제 그리고 일본에게 위협적인 존재로 부각되기까지 했던
가야 500년의 역사는 기후변동에 따른 북방 유목민족의 남하로 시작되게 됩니다.
흉노족,갈족,선비족,저족,강족의 유목민족의 남하는 양자강 유역으로 밀려나게 된
한족의 남하를, 그리고 한족의 남하는 베트남인의 조상인 월족의 남하를
가져오게 됩니다.
중국의 정치적,군사적인 소용돌이 속에서 국제적인 고구려의 남진정책은
국제정세에 대비를 하지못한 가야라는 희생양을 만들게 됩니다
김수로 사후 금관가야의 몰락과 대가야의 붕괴는 중앙집권체체를 도입하지 못한
가야의 분열을 가져오게 됩니다.
금관가야의 마지막 국왕이자 김유신의 증조부인 김구해는 자신의
신변을 인정받는 조건으로 신라에 항복을 하게 됩니다.
이로써 512년의 짧지않은 역사에 종지부를 찍은 가야의 역사적인 의의는
실로 거대한 유라시아 문명의 축소판이라고 할 만합니다.
다양한 문명이 융합되어 발전한 철기문화는 현해탄의 중심국가로써의
위상을 떨쳤던 것입니다.
일본과의 문화적인 교류가 순조롭게 이루어졌던 가야문명 이후로
신라와 백제의 일본에 대한 배타적인 태도는 일본에서 한반도를 침입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는 시초가 되고, 나아가서는 한.일 양국간의 적대적인 관계를
일으킨 요인이 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가야와 일본의 순조로운 교류를 통하여 가야 유민들이 일본에서 새로운
분신을 남길 수 있었던 것도 역사적인 큰 조류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이 아니었을까 생각해봅니다.
베일에 가렸던 왕국 가야는 더 이상 역사속에서만 비밀리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단일민족 이라고 부르는 자긍심은 역사적인 고증앞에서
무릅을 꿇지 않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다양한 민족의 융합으로 세계의 중심에 섰던 가야제국의 후손으로써
중요한 지정학적인 위치에 있는 한반도에서 펼쳐졌던 역사의 파노라마를
알게 된다면 겸허한 자세로 세계정세와 국민의 목소리 그리고 주변국가들과의
유대를 더욱 공고히 해야할 것입니다.
가야제국의 혼이 대한민국의 혼이되고 우리국민의 혼으로
유전되어 더욱 활발하게 동북아의 주체가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Oztoto's Cook n Book
http://blog.naver.com/oneyefishlu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