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디 머큐리 - Queen 예술적 상상력의 르네상스
레슬리 앤 존스 지음, 변문경.이미경 옮김 / 다빈치books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런 류의 책을 번역할 사람을 구할 때는
1. 해당 분야에 대해 식견이 있고
2. 지명이나 고유 명사에 대해서 잘 알고 있으며
3. 무엇보다 우리 말을 우리 말답게 풀어내는 사람을 찾아 주시길 바랍니다.
오역에 오타가 자꾸 나와서 책 읽기가 힘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학을 다시 묻다 - 사회사를 통해 본 신학의 기능과 의미 비아 제안들 시리즈
후카이 토모아키 지음, 홍이표 옮김 / 비아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쉽고 술술 읽히는 문체와 저자의 깊은 성찰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는 탁월한 신학 입문서. 전공자의 입장에서도, 이제 막 신학의 세계에 들어선 사람에게도 깊이 생각할 거리를 주는 보기드문 책이라 봅니다. 적극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화의 미소 - 노성두의 종교미술 이야기
노성두 지음 / 아트북스 / 2004년 12월
평점 :
절판


유럽에서 예술을 공부하는 학생들로부터 많이 들었던 푸념  - "실기는 자신 있는데, 이론 때문에 죽을 지경입니다".  단지 '말빨'의 문제가 아니다.  유수의 미대나 디자인 스쿨에서  한국 출신 학생들의 데생 능력은 단연 최고지만, 그것으로 무엇을 말하고 싶으냐는 질문에는 꿀먹은 벙어리가 되고마는 예를 종종 본다.  작품으로 말한다는 것도 어느 정도지,  하다못해 작품에 제목을 거는 일조차 이론적 작업에 속할진대, 작품 마다 '무제1', '무제2' 식으로 이름을 붙일 수는 없는 노릇 아니겠는가?  

'이론'이라는 것,    

자기 나름의 고유한 경험과 인생관을  여러 가지 컨텍스트 내에서 견주어보고  다른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있는 형태로 제시하는 능력일 것이다.  깊이 있게 성찰해 보고, 그 성찰을 다른 사람들의 사유와 비교도 해 보고, 그러면서 다른 사람들이 알아들을 수 있도록 설득력있게 말하는 능력 말이다.  이런 능력이 어릴적부터 입시 전문 학원- 흔히 공장으로 비유되는-을 거치며 '실기 머신'으로  양성되는 과정에서 얻어질리 만무하다.   

그런 면에서 이 책 '성화의 미소'는 서양 문명의 한 근간을 이루는 그리스도교 문화와 서양 인문학의 큰 전통들, 그리고 저자의 고유한 삶의 체험을 잘 버무려 낸 맛있는 비빔밥 같았다. 전통에 강하다는 것, 뿌리를 천착한다는 것, 이것은 대단한 강점이다. 적어도 뜬금없는 소리를 하지 않게 해주는 탄탄한 지지대를 가졌다는 뜻. 동시에 이 전통들을 살아있는 것으로 현재화시키는 데는 저자의 탁월한 입심과 공부내력이 큰 몫을 하고 있다. 예술을 전공하는 학생은 물론이려니와 '인문학적 교양'을 쌓고자 하는 이들에게 무척이나 유익한 책이 될 듯.  

단지 아쉬운 점 세 가지를 들자면,   

첫째, 저자의 예술사적 지식에 비추어서 종교학적 언급에는 몇 군데 아쉬움이 있다. 예컨데 장미창이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 막달라 마리아에 관해서...이런 대목에서 부정확한 '주장'들이 보인다.    

둘째, 종교적 텍스트를 읽는데 있어서 저자의 라틴어 지식은 약이면서 동시에 독이 되기도 하는 듯.  

셋째, 그래도 명색이 그림에 관한 책인데 인쇄 상태가 좀....내 책만 그런 건지 몇 군데서 색이 번졌다. 하지만 이런 아쉬움을 상쇄할만큼 충분히 값어치를 하는 책이다. 내 생각으로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기 배우기 2 - 형태의 아름다움을 찾아서, 세계의 교양 021 우리가 아직 몰랐던 세계의 교양 21
마테오 마랑고니 지음, 정진국 옮김 / 생각의나무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좋은 주제, 그러나 실망스런 번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기 배우기 2 - 형태의 아름다움을 찾아서, 세계의 교양 021 우리가 아직 몰랐던 세계의 교양 21
마테오 마랑고니 지음, 정진국 옮김 / 생각의나무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미학은 철학의 마지막 분과라고들 한다. 철학이 본격적으로 다루는 주요 주제들로부터 조금 먼 까닭도 있고, 한편으로 논리가 미치지 못하는 마지막 경계선을 탐구한다는 뜻에서 그러하기도 하다.

이렇게 미학과 예술이 철학에 맞닿아 있는 까닭에 많은 인문학자, 인문학도들이 미학에 관심을 가지고 책을 읽게 되는데, 여기서 예술계 출신 미학전공자들과 갈등 아닌 갈등을 겪게 되는 듯하다. 인문학도란 텍스트를 읽고 매만지고 옮겨 내는 것을 업으로 하는 사람들이다 보니 책의 내용 자체 뿐 만 아니라 엄밀한 용어 사용과 문장 구성, 번역의 질 같은 것들을 눈여겨 볼 수 밖에 없다. 그러다 보니 예술이나 미학 관련 서적의 번역본에  마뜩찮아 하는 경우도 왕왕 생기는 것이 당연지사다.

이 책 또한 번역의 아쉬움을 크게 느끼게 하는 책이다. 이 책의 저자는 미술 작품을 하나의 텍스트로 상정하고 읽어내라고 말하는데, 정작 이 책의 번역은 미술 작품 이전에 책 자체를 읽기 힘들게 만든다. 이 책이 노리는 바와 상치되는 난삽한 번역 문제는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다. 아마존에서 원서를 찾을 수 없으니 정히 관심이 있는 분은 번역의 껄끄러움을 감수하고 이 책을 읽으셔야 할 듯.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8-11-25 14: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hg 2009-03-22 23: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다른 책에 대한 리뷰도 읽으려 했는데 한 권도 없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