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움가트너
폴 오스터 지음, 정영목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움가트너
#폴오스터
#열린책들
#가제본서평단

폴 오스터의 1주기에 맞춰 출간된 유작으로

정원사라는 의미의 독일어에서 온 이름 바움가트너는
일생을 삶을 글로 가꾸워 왔는지도..

시인이었던 아내를 떠나보낸 바움가트너
아내가 남긴 시와 가트너의 일생의 기록들을 이야기하며
삶속의 기억과 추억을 떠올리기도 하고
상실과 죽음을 간결하면서도 아름다운 문장으로 그려내고 있다.

바닥이 타버린 냄비에 손이 데이는 일부터 아내가 사용하던 타자기를
바라보는 그리움에서, 아이를 가지지 않는 선택을 하게 되기까지..
이제는 혼자서 해나가야 할 일들에 대한 슬픔이 묻어나다가도

떠나보낸 아내를, 아내가 남겨둔 흔적들을 통해 과거를 회상하며
돌아서 남아있는 삶에서 연루된 사람들과의 살아냄을 통해 그리움보다는 담담함을 거기에 더한 삶을 살아내는 고통을 헤처나갈 길을 찾아나서기도 한다.

“운이 좋아 다름 사람과 깊이 연결되면, 그 다른 사람이 자신만큼
중요해질 정도로 가까워지면, 삶은 단지 가능해질 뿐 아니라
좋은 것이 되요.“ p123

이제는 떠나고 곁에 없는 누군가를 (예를들어 부모님을) 떠올려본다.
당시에는 그 죽음과 함께 모든것이 끝나버린 깊은 절망에
허우적 거리게 될 것을 예상했었다.
하지만 삶은 단지 그 죽음만 있는것이 아니라
너무나 많은 일과 관계와 의무가 뒤따르는거였다.
💭
계속 끌어안고 그리워하고 살아갈 것같던 내일상은
너무나 평온하고 밥도 잘먹고 가끔은 잠시 잊어버리고 지내기도 하는
스스로의 모습이 낯설고 죄스럽고 놀라기도 했었다.
대신 함께 한 세월에서 온 습관과 버릇들이 닮아 내곁에 남아 있었다.

남겨진 가트너는 아내에게는 작별을 고하는 시간을 마무리하며
자신도 곧 떠나게 될 시간들을 회고하고 준비하는 과정을
철학적으로 위트있게 아름답게 담아내고 있다.

💬
다소 번역에서오는 쎈 언어와 표현에 슬픔마저도
놀람과 웃음으로 승화시켜주지 않았나 싶고...

🗯
변명하자면 철학적이고 완급조절 너무 잘된 직선의 글을 잘 읽어내지 못하는 편이지만 독자들이 극찬하는데는 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는걸 폴 오스터의 작품을 통해 조금은 발견하지 않았나..만족해본다. 어쩌다 넘버링 18번^^;;

💫왜 다른 더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순간들은 영원히 사라진 반면
우연히 마주친 덧없는 순간들은 기억속에 끈질기게 남아 있는지 살펴본다든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