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레바퀴 아래서 - 짓눌린 영혼에게 길은 남아있는가
헤르만 헤세 지음, 랭브릿지 옮김 / 리프레시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책을 제공받고 완독 후 작성하는 리뷰입니다]



「수레바퀴 아래서」는 우수한 성적을 가진 아이가 신학교에 들어가면서 신경쇠약에 걸려 학교를 떠나고 고향에서 다시 삶을 이어가는 이야기이다. 누구나 그의 미래를 꿈꾸고 마을의 모든 사람의 기대를 받던 '특별한 아이', 소위 '성적우수자'. 쉬는 시간조차 공부를 위한 준비 시간이며 낚시의 즐거움조차 사치인 아이. 그러한 아이가 누구보다 열심히 공부하고, 꿈을 가지고 원하던 신학교에 들어간다. 하지만 두통에 시달리고 공부에 조금씩 흥미를 잃고 이것이 낙인이 되어 더 공부에 흥미를 잃는 악순환 끝에 결국 학교를 떠나고, 그 이후의 삶 역시 그려내는 마음 아픈 이야기이다.

그런데 이 이야기, 익숙하지 않은가?


수험생들에게 잠이 중요한 이유는 맑은 정신으로 집중해서 공부하기 위해서이고, 운동이 중요한 이유는 공부할 수 있는 체력을 만들기 위해서이다. 만성두통에 시달리면서 수학과 영어와 역사, 국어에 시달리고 학원이나 과외의 갯수가 늘어난다. 모든 학교를 졸업 한 이후 자신의 멋진 삶을 위한 과정.


바로 대한민국의 이야기이다.

100년도 더 전에 쓰여진 책이지만, 지금 대한민국에게 필요한 이야기가 아닐까.



영어유치원이 핫했다면 지금은 "의대준비-유치부반"이 핫하다. 영어유치원을 입학하기 위한 영어시험을 위한 영어과외 이야기야 이미 오래된 이야기이고, 유치원 때부터 수많은 사교육이 존재한다. 내가 알던 한 아이는 7살에 논술, 연산, 사고력 수학, 영어, 한국사, 미술, 피아노, 줄넘기 이렇게 8개의 학원을 다니고 있었다. 맞벌이여서 아이를 맡겨야해서도 아닌 외벌이 집이었다. 이 아이뿐이랴. 초등학생이 되면서 다들 국영수 학원이 인생의 필수코스가 된다. 그리고 아이들은 초등학생부터 집에 7시 8시에 오는 풍경은 많은 집에서 볼 수 있다. 편의점에서 밥겸 간식을 떼우고 집에 와서 다시 밥을 먹고 학원 숙제를 하는 풍경. 저 쪽 동네는 초등학교 5학년이면 중학교 수학은 이미 3~5바퀴 돌렸고 한 번 더 중학 수학을 할지 이제는 고등학교 수학을 갈지 고민한다는 이야기, 듣기 어려운 이야기가 아니다. 이런 대한민국의 어린이와 수험생들이 모두 '수레바퀴 아래서'의 한스가 아닐까.


오래된 책을 읽으면 얼마나 많은 일들이 백년도 더 전에 지금과 같은지 놀랍다. 그리고 그 문제점들을 백년도 더 전에 알고 있는데 해결되지 않는다는 일은 더욱 놀랐다. 헤르만 헤세의 「수레바퀴 아래서」를 읽으며 한스의 빛나던 인생이 아까워서 울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책을 읽는내내 질문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좋은 대학교를 가는 일과 행복의 상관 관계는? 대한민국의 수많은 아이들이 가장 빛나고 열정 넘치고 에너지 넘치는 시기를 책상 앞에서 보내며 시들어 가고 있는건가? 늘어나는 우울증과 분노조절장인 사람들, 그리고 점점 낮아지는 그들의 연령, 「수레바퀴 아래서」가 우리의 자화상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