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만휘 수시 합격 바이블 - 서울대생 33인의 수시 합격을 위한 절대 법칙
김지원 외 지음 / 다산에듀 / 2025년 7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완독후 작성한 리뷰입니다]
나는 부끄러울 정도로 현재 대입시스템에 대해서 모르고 있다. 주변에 아이가 둘, 셋인 집에서 "아이들 모두 대학교 보낼 때 입시 시스템이 달랐어요."라는 말을 심심찮게 들어 알고 싶지 않기도 했다. 나의 부모님만 해도 아이들을 본고사, 수능, 수시로 보내지 않았는가. 무슨 나이터울이 그렇게 많은 것도 아닌데 이게 우리 나라 대입시스템의 실상이다. 그래서 때가 되지 않으면 우리 나라 대입시스템을 알아보지 않겠다고 생각하기도 했다.
이제 때가 되었다.
이제는 우리 나라 대입시스템이 현재 어떻게 되어 있는지 알 필요가 있었다.
그런데 지금와서 알아보자니 생기는 막막함. 여전히 수능을 보고 있고, 수시의 비중이 더 크고, 티쳐스라는 프로그램을 보면서 생기부가 중요하다는 것 또한 알았다. 우연히 올해 시작되는 고교학점제가 학교현장에서는 혼란만 가져오고 출석이 중요해졌다는 것도 내신이 5등급으로 바뀐다는 것도 알았다. 일부로 알아보지 않아도 텔레비전이나 기사들을 보면서 이 정도는 알게되었다. 하지만 진정한 생기부의 의미와, 고교하점제가 어떻게 운영이되는지는 몰랐다. 거기서 이번에 나온 "수만휘:수시합격바이블"은 나의 모든 궁금증을 뚫어주었다. 내가 몰라서 궁금해하지조차 않은 것들까지 다 해결해주었다.

사실 책을 처음 받고 쉽게 책을 읽기 시작하지 않았다. "합격바이블"이라고 되어있지만, 지금 대입시스템에 대해서 알아본 적이 없는 나에게는 마치 원서교재처럼 어렴게 느껴져서이다. 그런데, 이것은 나의 큰 착각이었다! 이 책은 너무 쉽게 술술 읽힌다. 의도하지 않게, 책을 들고 한 방에 다 읽었다. 나처럼 대입시스템에 대해서 모르는 부모님들도 현재 상황을 쉽게 알수 있게 정말 잘 정리된 책이다.
책은 현재 대입시스템에서 알아야하는 모든 분야를 다루고 있다. 생기부, 고교학점제, 면접, 논술, 내신, 수행 평가 등. 어떻게 운영이되는지부터 알기 쉽게 설명해주고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알려주고 있다. 중간중간에 사례를 들어서 더욱 더 이해를 도와주고 있다. 무엇보다 이 책의 좋은 부분은 학년별로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중3,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비교하면서부터 시작해서 고등학교 1학년 때는 무엇을 어떤 방법으로 해야하는지, 2학년 때 3학년 때 어떻게 해야하는지 상세히 알려준다. 더욱이 별책부록으로 실제 생기부 사례집을 보여주고 분석까지 하고 있어서 이보다 더 구체적인 예는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서, 고교학점제의 큰 불만 중 하나가 대학생 때도 전과를 하는게 현실인데 고등학교 1학년 때 원하는 전공을 선택해서 교과목을 수강하라는게 너무 어렵다는 것이다. 이 책은 진로를 각 학년마다 어떻게 잡아서 어떻게 과목을 선택해 줘야하는지 상세히 알려주고 있어서 나처럼 멘붕인 부모님들에게 조금 더 자신감을 넣어준다. 실제로 고교학점제는 그냥 폐지해버렸으면 하는게 나의 마음이지만, 현실이 어찌될지 모르니 이렇게 대처방안이라도 미리 아니 책을 읽기 전부터 읽은 후 조금 더 마음을 다잡게된듯 하다.
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정보력' 격차가 제법 있을 것이다. 입시컨설턴트를 사용하는 사람부터, 초등학생 때 입시관에게 받는 진로컨설팅 등. 부유함에 따라 정보격차가 있을 수도 있고 지방인지 수도권인지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아무리 인터넷이 발전하고 유튜브에 많은 정보가 있어도 실제 부모님들은 "현재대입시스템"이라는 검색어 이외에는 무엇을 어떻게 검색해야할지 모를 수 있다. 여기에 정말로 이 책 한 권이면 된다. 이 책 한권이면 부모님들이 느낀 정보격차를 다 메꿀 수 있다. 물론, 공부는 아이드리 자신이 해야한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나서 부모들은 아이들이 생기부를 작성하기 위하여 하는 활동들이나 선택하는 과목에 도움이나 조언을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이렇게 많은 부분을 신경써야하는 것을 알게되어 아이들을 더욱 더 진실되게 응원할 수 있을 듯 하다.
현재 고등학생뿐만 아니라 중학생 부모님들께도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