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학공부, 순서를 바꾸면 빨라집니다 - 평범한 내 아이를 위한 ‘지름길’ 수학공부법
민경우 지음 / 메리포핀스 / 2024년 10월
평점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020/pimg_7832711314467830.jpg)
문과생 엄마의 감상 - 편견을 넘어서면 쉽다!
이번에 새로 나온 「수학공부, 순서를 바꾸면 빨라집니다」라는 책은 아이들의 수학공부에 대한 안내원이 없는 나의 관심을 확 끌었다. 순서를 바꾸면 수학공부가 빨라진다고? 평범한 나의 아이를 위한 '지름길'이었다고? 매력적인 제목과 설명에 책을 빠르게 읽어나갔다.
아주 솔직히 이야기를 하자면, 완전 뼛속까지 문과생인 나에게 이 책의 초반에 나오는 루트나 로그지수등에 대한 설명은 나의 좋은 반응과 나쁜 반응을 모두 불렀다. 나쁜 반응은, 머리 속에 번쩍이는 경고등. 수학이다! 숫자다! 사칙연산 이외의 내용이다!!하는 경고등이 엄청나게 깜박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나와 같이 수학이라면 몸서리치는 사람들도 무서워하지 말고 이 책을 꼭 보라고 하고 싶다. 왜냐하면 나의 좋은 반응은, "응? 엄청 쉽게 알려주시네? 우리 집 초등학생 꼬마도 이 내용은 충분히 이해하겠는걸?"이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020/pimg_7832711314467839.png)
이 책의 내용은 제목 그대로, 수학공부 순서를 바꾸라는 것이다. 초등학생 4학년 때 배우는 분모가 다른 분수의 합보다는 제곱과 루트가 더 쉽다는 것이다. 심화문제까지 들어가지 않아도 그 개념을 배우고 기본적인 응용까지는 충분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이것을 초등학생 때 배우지 않는 이유는? 딱 하나라고 한다. 교과과정의 순서가 그렇지 않으니까.
이렇게 이 책은 정말 제목 그대로, 현재 교과과정대로 묵묵하게 공부를 해나갈 것이 아니라 순서를 바꾸어서 아이에게 공부를 시키라고 한다. 생각보다 많은 아이들이 중학교 수학을 받아들이고 이해한다고 한다. 그리고 중학생 때도 방정식을 배우면서 방정식과 관련된 고등학교 수학내용까지 미리 한꺼번에 배우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한다. 이렇게 선행에 대한 나쁜 인식을 버리고 선행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오히려 선행의 순기능(아이들은 이미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므로, 미리 익혀서 자신감을 키운다)을 이용하라고 이야기한다. 실제로 조자는 10여년 동안 아이들에게 수학을 가르치면서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고 있고 이과(공대)출신 학부모님들이 이러한 자신의 교육관을 이해한다고 이야기한다. 오히려 수학을 이해하는 부모님들이기에 현재 수학교과과정의 문제접에 공감을 하고 있다며 저자의 경험들을 이야기해주고 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020/pimg_7832711314467838.png)
사실 이 책의 내용은 반감을 불러들일 수 있는 부분이 있다. 초등학교 4학년에게 로그까지 개념을 소개해준다든지, 선행학습을 옹호한다든지 하는 부분에서 그러하다. 하지만 저자는 자신의 생각에 대한 이유를 구체적으로 이야기를 해준다. 우리가 수학공부를 하고, 수학학원을 다니거나 수학과외를 하는 이유는 결국은 대입을 위해서이다. 고등학생이 되어서 내신을 잘 보고 수능을 잘 보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수능에 나오는 문제들 중 중학교 교과과정과 관련된 부분은 10~15%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집중적으로 목표를 향해 나갈 수 있는 공부를 하라고 저자는 이야기 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중학생이 되면서 내신을 신경쓰기 때문에 저자는 내신으로부터 자유롭고, 이제 공부를 하기 시작하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1까지를 선행에 가장 좋은 시기라고 잡는다. 특히 5~6학년까지 그러하다. 이렇게 작가는 "대입"이라는 목표를 향해 나갈 수 있는 수학공부 로드맵을 그려주며 부모님들이 아이들의 학년에 따라 어떠한 내용을 어떻게 소개해 줄 수 있는지 제법 구체적으로 알려주고 있다. 나는 아주 솔직하게는 이차그래프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을 때 이미 나의 뇌는 수학에 대한 거부반응을 일으키고 있었다. 나와 같은 사람들에게는, 저자의 생각에 공감할 수 있는 선생님을 통하여 사교육을 진행하는 것을 권하고 있다.
사실 이 책은 지금까지 접한 많은 교육학 책과는 달랐다. 많은 책들은 자기주도학습, 엄마표, 공부학습 세우기 등 '사교육과 먼' 공부법들이었다. 하지만 이 책은 선행도 괜찮다, 사교육도 필요하다, 라고 하면서 현실적인 현재의 교육환경에 많는 대응법을 내숭없이 이야기해주고 있다.
내가 선호하는 공부법과는 다른 공부법이었고, 순서대로 스스로 공부를 하다가 나중에 수학학원은 보내야겠지..하던 나에게 생각할거리를 많이 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