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공부법은 처음이야 - 내 인생 최고의 공부는 오늘부터 시작된다 처음이야
신종호 지음 / 21세기북스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부. 한국인에게 애증의 단어다. 12년의 학창 시절이 인생의 지표가 되는 사회에 산다. 잘하면 잘해서, 못하면 못해서 이래저래 스치는 감정이 여럿이다. 잘했던 이보다 못했던 이가 더 많은 구조에서 공부에 관한 책은 10대를 넘어 20대, 30대 이제는 중년의 공부까지 파고든다.

 

<이런 공부법은 처음이야>는 학습 심리가 전공인 신종호 교수의 공부에 대한 이야기다. 학습법에 관심이 있다면 들어본 이름이고 최근 유퀴즈에 출연하여 더 익숙하다.

 

공부는 모르는 것을 익혀가는 과정이다. 하기 싫다면 효과가 떨어질 것이고, 좋아하고 배우고 싶다면 즐거울 것이다. 시간 안에 학습을 해야 하는 제약 조건이 공부를 재미없게 만들지만 이를 극복하는 방법을 저자는 알려준다.

 

공부는 일단 왜 할까? 이 질문에 탄탄한 답변을 해야 다음 과정에서 만나는 반갑지 않은 방해꾼을 편안하게 치울 수 있다. 공부마음이 중요하다. 타인의 보상으로는 절대로 충분치 않다. 공부 자체에 대해서 기쁜 순간이 조금씩 쌓이면 마음도 단단해진다.

 

내가 어떤 사람이지, 어떤 방식의 공부를 선호하는지 알아야 한다. 음악을 듣는지, 조용해야 하는지 해봐야 안다. 방법은 하나가 아니다. 본인이 지닌 역량이 다르기에 방법도 다르다. 그러니 해봐야 알 수 있다. 계획도 세우고 점검하고 다시 세워봐야 현재 상태가 보인다. 말이나 생각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공부는 어느 정도까지는 머리가 아니라 방법으로 가능하다. 천재나 영재의 범위를 노리지 않고 노력으로 가능한 수준까지 도달하고 싶다면 충. 분. 히. 가능하다.

 

그래도 겁이 나는가? <이런 공부법은 처음이야>를 일단 펼치길 바란다. 그리고 공부법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모두 담겨 있다. 이 책의 방법을 하나 둘 실천하다 보면 어느새 공부에 대해 자신감이 생길 것이다.

 

 

 

*내 말이!*

5p. 학생들은 "공부를 왜 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어요"라며 고민을 털어놓고, 학부모들은 "우리 아이가 공부를 스스로 안 하는데 어떻게 하면 좋죠?"라며 걱정을 합니다. 아마 비슷한 고민을 안고 있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사실 이 고민은 해결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마음의 문제이기도 하고, 방법의 문제이기도 하니까요. 다만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건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공부의 과정과 결과 모두 실망스러울 수밖에 없고, 결국 아이들과 부모님의 마음에 커다란 좌절감과 패배감이 남을 수밖에 없다는 점입니다.

 

6p. 공부마음에 힘이 있으면 좋은 공부법과 생활습관을 내 것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부마음에 힘이 없으면 조금만 힘들어도, 조금만 실망스러워도 금방 포기하게 됩니다. 공부마음은 어떻게 기르는 거냐고요? '왜 공부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을 할 줄 알아야 합니다.

 

63p. 이건 유난히 산만하거나 집중력이 떨어지는 사람이라서가 아니라 '공부 습관'이 제대로 잡혀 있지 않기 때문이야. 그러니까 자기를 탓하거나 포기하는 일은 없었으면 해. 공부 습관만 기르면 다 해결되는 문제거든.

 

67p. '규칙적인 운동'도 공부하는 데 도움을 주는 아주 좋은 습관이야. 운동은 공부에 도움을 주는 보조적인 역할뿐 아니라, 운동 그 자체로 매우 중요한 활동이야. (중략) 더구나 적당한 운동은 기억력까지 향상시키지. 이미 과학적으로 증명된 사실이야.

 


**아! 그렇구나**

70p. 우선 나의 공부에 방해가 되는 습관을 완전히 없앤다기보다 공부에 도움이 되는 습관으로 대체하겠다고 생각을 바꿔봐. 사실 나쁜 습관을 완전히 없애는 건 불가능하거든. 그러니까 나쁜 습관의 빈도수를 줄이고 그 자리에 좋은 습관을 놓겠다고 생각을 바꿔보는 거야.

 

79p. 교육심리학에서는 스스로에게 주는 보상을 '자기강화'라고 불러. 물론 부모님이나 선생님이 보상을 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자신에게 스스로 보상할 수 있는 훈련을 하는 것도 중요해. 다시 말해, 목표를 성취했을 때 자기보상을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스스로 계획하는 거야. 이런 자기보상이 습관이 되면 스스로에게 자부심을 갖게 되고 외부에서 도움을 주지 않더라도 알아서 학습 의욕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디딤돌을 마련할 수 있어.

 

90p. 오랫동안 천천히 생각하는 습관을 키우기 위해서는 어떤 문제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민하는 태도를 습관화해야 해. '무조건 열심히 하는 것'보다 '열심히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잊으면 안 돼.

 

'본 리뷰는 21세기북스의 도서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