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쟁의 여섯 가지 얼굴
김한종 지음, 임근선 그림 / 책과함께어린이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 전쟁. 처음에 이 단어를 봤을 때 낯설었다. 한국에서 일어난 전쟁이 하나가 아닐 텐데 왜 이런 이름이었을까? ‘6·25 전쟁’으로 배웠던 탓이리라. 영어로는 ‘KOREAN WAR’라는 김한종 교수의 설명을 듣고 그제서야 이해가 되었다. 그리고 한국만의 이유로 전쟁이 벌어진 것도 아니며, 배경과 크게 영향을 미친 각 국가의 정세를 감안하면 당연히 한국 전쟁으로 부르는 편이 타당해 보인다.



국사 시간에 배운 ‘6·25 전쟁’은 다른 전쟁과 다르지 않았다. 가장 최근에 이 땅에서 벌어진 전쟁일 뿐이었다. 전쟁에 얽힌 사람도 일가친척 중에 아무도 없었기에 그냥 교과서 속 이야기였다. 덕분에 부담 없이 책을 펼쳤다. 그리고 슬펐다.



<한국 전쟁의 여섯 가지 얼굴>을 읽으며 여러 번 눈물을 보였다. 역사책을 보고 인간의 잔혹함에 소름 끼쳤던 순간은 있지만, 심장이 덜덜 떨리며 속이 상했던 경험은 처음이었다. 마음이 정말 아팠다. 전쟁이 끝났는데, 강제로 끝이 났는데, 끝나지 않았다. 한 가족이 이사를 해도 정리하는 데 수개월이 걸리는데, 국가가 나눠지고 쪼개졌는데 제대로 된 정리가 70년이 지난 지금도 진행형이라니. 먹고살기에 급급해서라고 치부하기엔 핑계로 들린다. 경제적으로 완전한 순간은 그럼 언제란 말인가.



아이들에게 설명하기 전에 질문에 답하는 마음으로 미리 넘겨 본 책은 담담하지만 전쟁의 여러 방면을 설명한다. 공간, 이동, 사람, 파괴, 기억, 국가 권력 이렇게 6개의 분야를 기준으로 한국 전쟁을 재구성한다. 따라서 평면적인 한국 전쟁의 이야기와는 결이 다르다. 전쟁은 사람이 하고, 사람이 사는 곳을, 사람이 파괴하고, 사람 간에 다툰다. 누구를 위한 전쟁이란 말인가.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는 책이 계속 떠올랐다. 사람이 사람을 해치고 망가뜨릴 권리는 그 누구에게도 없다. 이 땅에서도 다른 곳에서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꼭 되짚어 봐야 한다. 잘잘못을 가른다고만 보기엔 부족하다.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발판이 되어야 뿌리를 깊게 내릴 수 있다. <한국 전쟁의 여섯 가지 얼굴>은 전쟁 전이든, 후든 나누지 않고 그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전공자들이 읽는 책이 아니고 아이들을 독자로 삼고 쓰인 글이라 부담이 없다. 그리고 한쪽에 치우치지 않은 목소리가 담겨 있다. 그래서 좋다.



여전히 마음이 아프다. 한국 전쟁은 끝난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