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와 아이 중 한 사람은 어른이어야 한다
임영주 지음 / 앤페이지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는 책을 선택하게 하는 요인 중의 하나다. 육아서의 경우 영향력이 미치는 범위가 줄어들긴 하지만 그래도 표지와 제목과 저자는 책을 읽고 싶게끔 이끈다. 특히나 이번 <부모와 아이 중 한 사람은 어른이어야 한다>는 아이와 엄마가 줄다리기하며 씨름하는 모습이 새롭지 않다. 어른의 말을 왜 듣지 않는지, 아이와 힘겨루기 하는 장면은 영유아기가 지난 자녀가 있다면 어렵사리 볼 수 있다.

육아서 좀 읽었다면 임영주 박사 책은 당연히 봤을 것이다. <우리 아이를 위한 자존감 수업>, <책 읽어주기의 기적>, <큰소리 내지 않고 우아하게 아들 키우기>, <하루 5분 엄마의 말습관>, <엄마가 알려주는 아이의 말공부>, <엄마라서 행복해, 내 아이라서 고마워>, <아이의 뇌를 깨우는 존댓말의 힘>, < 임영주 박사의 그림책 육아> 등을 비롯해 부모도 아이도 행복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부모와 아이 중 한 사람은 어른이어야 한다> 어른이라고 해서 진짜 어른인지는 모르겠다. 몸은 어른이 되었겠지만 마음은 자라지 않은 어른이들이 주변에 왕왕 보인다. 아이들이 많이 있는 곳에 가면 실랑이하는 부모들(주 양육자)이하는 대화가 이 책에 담겨 있다. 누가 애인지 어른인지 쓴웃음이 나는 경우도 수두룩인데 그 역시 부모에 대한 이해도 담겨 있고, 아이에게 다정히 말하는 방법도 함께 알려준다. 임영주 교수의 방식이다.

부모도 아이의 나이와 함께 성장한다. 처음부터 답을 알고 실천만 하면 되는 완성형이 아니다. 당연히 실수도 아픔도 있다. 실수 자체를 용인하지 않는 문화에 살다 보니 양육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하려는 경향이 세다. 아픔 없이 아이를 키울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그러나 아이도 어른도 모두 사람이다. 그렇게 배우며 나아간다. 그래도 된다. 의지와 사랑이 모든 걸 해결하지 못한다. 밥도 먹어야 하고, 화장실도 가야 한다. 씻기도 해야 하고 커피도 마셔야 한다. 친구와 이야기도 나누고 싶고 그렇다. 최소한의 것들이 있어야 에너지를 지킬 수 있다. 사랑한다고 잠 안 자고 버텨지는 문제가 아니다. 아이도 소중하지만, 어른도 생존에 대한 영역을 확보해야 한다. 그조차 희생하면서 아이를 키워야 한다면, 당연히 아이에게 좋은 말과 행동을 보여주기 어렵다.

알면서도 어려운 것이 육아다. 그래서 책이라도 읽으면서 다시 한번 힘을 내는 거다. <부모와 아이 중 한 사람은 어른이어야 한다>를 읽으며 아이 앞에서 아이의 부모의 모습을 한 아이는 아니었는지 돌아 보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