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유 (양장) - 무소유 삶을 살다 가신 성철·법정 스님의 아름다운 메시지
김세중 지음 / 스타북스 / 2023년 9월
평점 :
품절



『무소유』

김세중(저자) 스타북스(출판)

가진 것이 너무 많다 보니 정작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 알지도 못한 채 세상을 살아가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삶은 아무것도 갖지 않은 내 몸 하나가 살다가는 것임은 몸소 실천하며 살아가셨던 성철 스님과 법정 스님이 세상에 남기는 아름다운 메시지 이번 스타북스에서 30주기 스페셜 에디션으로 만날 수 있었습니다. 특별히 종교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스님 말씀을 읽는 것만으로도 마음의 위안이 된다는 것을 이번 무소유를 통해 느낄 수 있었습니다.

불교에서는 딱히 용서란 없다고 합니다. 세상을 살아가며 수많은 일들에 부딪히기 마련입니다. 그런 상황 속에서 사람들은 상처받기 마련이며 그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은 또 다른 상처를 받지 않으려 애쓰며 인생을 살아갑니다. 용서란 말 그대로 상대방이 나에게 행했던 잘못 들을 받아들이며 고통을 내려놓는 것이라 생각했지만 불교에서 용서는 딱히 없으므로 참회하는 마음으로 살아야 하며 참회하는 마음이 모든 장엄 중에서 으뜸이라고 합니다. 용서하기 어려운 이들에게 참회는 또 다른 용서가 되기도 합니다. 그 무엇보다 자기 자신을 용서하는 일이야말로 참회하는 일일 테니 참회가 얼마나 가치 있는 일인지 비로소 느낄 수 있었습니다.

누군가는 이야기할지 모릅니다. 내일부터 모레부터 아니 일 년 후 십 년 후... 하지만 오늘 하루를 이 삶의 전부라고 느끼며 살아가야 한다는 것 자체로 큰 깨달음을 줍니다. 무소유는 학창 시절 읽었던 것과는 또 다른 깊이와 울림이 있습니다. 그것은 인생을 살아가며 겪었던 경험들을 다시금 떠올리게 만들었고 그때 올바른 선택을 하지 못 했던 것들에 대한 후회를 앞으로는 다시 겪지 말아야 할 결심으로 다가옵니다. 태어날 때 엄마의 뱃속에서 빈 몸으로 왔듯이 이 세상을 떠날 때에도 빈 몸으로 가기 마련입니다.

얼마 만에 다시 마주한 무소유인지 모르겠습니다. 사람이 태어나 홀몸으로 왔듯이 돌아갈 때도 아무것도 갖지 못한 채 떠나가듯이 무소유라는 말은 그저 아무것도 갖지 않는다는 것이 아닌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다는 뜻이라고 법정 스님은 말하고 있습니다. 살면서 갖고 싶은 것을 하나둘 갖다보면 그만큼 얽히는 것도 늘어나고 그것은 물건뿐 아니라 인간관계에도 영향을 끼칠 만큼 중요한 요소입니다. 비로소 버리는 것만이 삶을 더 풍요롭게 하고 행복하게 해준다면 그것 또한 비우면서 채워지는 것이 아닐까요? 요즘은 미니멀라이프를 꿈꾸는 사람들 또한 많습니다. 어쩌면 더 많은 것을 갖기보다 불필요한 것은 버리며 소유하지 않는 것이 삶을 충만하게 살아가는 또 다른 방법이 아닐까요?

그릇된 욕망으로 인해 몸에 때를 묻히며 살아가고 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무소유는 값진 삶이 무엇이며 비로소 그 이치를 마음속 깊은 곳에서부터 깨닫게 되었을 때 진정한 내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올바르고 긍정적인 방향의 길로 안내해 줄 것입니다. 책을 읽으며 무소유 삶을 살다가 신 성철 스님과 법정 스님의 무소유에 대한 메시지를 기억해 볼 수 있었습니다. 자신의 길이 비록 당장 빛이 나지 않은 길이이라 할지라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 언젠가 밝은 빛을 맞이할 그날을 꿈꾸며 살아갈 수 있기를... 삶의 진정한 가치를 깨닫게 해주는 무소유를 통해 나의 삶에 충만한 행복을 채워보는 것은 어떨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