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 일지 열린책들 세계문학 285
다니엘 디포 지음, 서정은 옮김 / 열린책들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염병 일지』

대니얼 디포(저자) 열린책들(출판)

열린 책들 세계문학 285번째 이야기 전염병일지는 런던에서 상인의 아들로 태어나 비국교도의 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여러 가지 사업을 했으나 실패하며 여러 정치적 논문을 쓰며 언론활동을 하다가 1719년 마침내 로빈슨 크루소를 발표하며 명성을 얻은 작가 대니얼 디포의 작품입니다.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코로나19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고 죽음에 이르렀을 때 지구는 그야말로 암흑의 시간이었습니다. 막상 책을 펼치려니 그때 그 시간들이 떠올랐기에 마음이 가볍지만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염병일지를 다시 마주할 수 있었던 건 앞으로 또다시 일어나지 말아야 하겠지만 그 언젠가 또다시 전염병이 우리를 휩싸인다면 미래에 우리는 전과 같은 불상사를 다시 똑같이 치러서는 안되었기에 하나의 숙제를 남겨주고 간 코로나19에 대해 런던을 집어삼킨 전염병일지에 알아야 할 것들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로빈슨 크루소에 비해 다소 알려지지 않고 있었던 전염병일지는 소설이라고 하기보다 전염병이 일어났던 하나의 일지처럼 자료집에 가까운 기록이었기 때물에 출간 당시 많은 대중들에게 읽히기 쉽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전염병을 다룬 다수의 책들이 관심을 받기 시작하면서 전염병일지는 고전문학으로 새로 자리 잡기 시작했고 국내외 많은 독자들에게 전염병에 대한 경각심을 다시 일깨우기에 충분했습니다. 전염병 자체로 많은 무고한 사람들이 희생당했고 그것은 바이러스라는 단순한 병에 관한 것이 아닌 근본적인 사회문제 즉 병이 일어났을 때 대처했던 지도자들의 무책임했던 모습들과 원인을 숨기기에 바빴던 불평등한 구조 속에 과연 미래에도 이와 같은 일들이 발생한다면 그때도 지금과 같이 회피한 할 것인가... 그것이 바이러스로 인해 억울한 죽음을 맞이한 사람들에 대한 올바른 자세였을까라는 수많은 생각들이 앞섭니다.

전염병일지는 서구에서 18세기 초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한 서사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인 사람들의 사고 질병 죽음의 원인들과 결과를 자세히 분석해서 기술해 놓았습니다. 그래서 그동안 읽어왔던 것과는 다르게 가독성은 떨어질 수 있지만 오히려 전 더 이해하기 좋았던 부분이기도 합니다. 1655년 페스트가 런던에서 발생했을 때 그곳에 머물렀던 시민으로 소개되는 전염병일지의 화자가 강조했던 건 이 같은 재난을 겪는 사람들이 행동하는 지침들을 기록하고 작성하며 많은 시민들이 페스트를 대비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자신의 기록을 관찰하며 세세하게 기록하고 하물며 페스트로 인해 죽음을 맞이하는 과정들을 눈으로 직접 보며 겪었던 그곳에서 화자는 과연 끝까지 살아남을 수 있을까? 전염병이 일어났을 때 사람들이 취했던 행동들을 하나하나 묘사하는 과정은 코로나19를 다시 연상하게 만들었습니다.방역복을 입은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었고 국외에서는 시체를 묻을 곳이 없어 쌓아두었던 것까지...

누군가는 말했습니다. 지구의 재앙이라고.. 이 모든 것이 인간의 욕심으로부터 일어난 것이라고 말입니다. 왜 인간은 자연 앞에 무용지물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자연을 내버려 두지 않는 것일까요... 온 세계가 신의 심판을 받은 지 3년 7개월 만에 코로나19감염병 등급을 2급에서 4급으로 낮춘다는 정부 발표가 있었습니다. 전염병일지는 1665년 전염병 발발 당시 런던시가 취한 보건 의학적이고 행정적인 조치를 세세하게 기록하고 평가함으로써 이후 세대가 다시 전염병을 겪었을 경우 참조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한 것이라고 합니다. 마스크가 품귀현상 나고 사회적 거리를 둠에 따라 죽음을 앞에 둔 가족들을 만나보지도 못하고 떠나보내야 했던 많은 사람들 ... 우리는 또다시 겪지 말아야 할 아픔 속에 다시 한번 전염병이 발생했을 때 잘 대처해야 함을 인지하고 행정적으로나 도덕적으로 바로 서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