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포, 집, 여성 - 여성 고딕 작가 작품선
엘리자베스 개스켈 외 지음, 장용준 옮김 / 고딕서가 / 2021년 12월
평점 :

『공포,집,여성』
엘리자베스 개스켈 외 (저자) 고딕서가(출판)
고딕 서가의 시리즈 중 두 번째로 읽어보게 된 「공포, 집, 여성」은 네 명의 여성 고딕 작가 작품이 담겨있다. 고딕소설이라는 용어는 중세적 배경을 갖고 있지는 않더라도 공포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거나 섬뜩하고 무시무시한 인간의 이상 심리상태를 다룬 소설까지 그 범위가 상당히 다양하게 적용된다. 숲속의 로맨스에 이어 공포, 집, 여성 역시 책표지가 주는 음산함은 공포와 신비감을 동시에 가져다주기에도 충분했다.
엘리자베스 개스켈 - 「회색 여인」
딸이 시집 잘 가 행복하게 잘 살길 바라는 건 모든 부모의 마음일 테다. 하지만 결코 딸의 결혼을 승낙할 수 없었던 엄마의 마음. 젊은 여인의 초상화를 보게 된 난 공포에 사로잡혀 일생을 살았다는 그 여인이 회색 여인이라 불린 것을 방앗간 주인으로부터 듣게 되고 그녀가 바로 아나 셰러라는 이름을 가진 여자란 걸 알게 되는데... 아나가 겪었을 그 공포스러움에 소스라쳐진다. 성에 갇힌 채 살아가는 그녀에게 유일한 버팀목이었을 가족 하지만 남편 무슈 드 라 투렐은 가족과의 만남 그것마저도 허용하지 않는다. 그런 와중에 아나는 친정에서 온 편지를 보기 위해 몰래 남편의 서재에 가게 되고 그곳에서 뜻밖의 현실과 마주하게 되는데... 아나는 과연 하녀 아망트와 무사히 성을 탈출할 수 있을까? 세상에 믿을 사람 하나 없다더니 남편의 정체와 그의 이중적인 삶이 얼마나 끔찍하게 다가왔는지 읽으면서도 오싹한 건 어쩔 수 없나 보다.
버넌 리-「오키 오브 오키허스트,팬덤 러버」
윌리엄과 앨리스 그들은 부부이다. 200년이라는 세월을 넘은 비슷한 외모의 두 명의 앨리스 과연 과거의 앨리스가 현재의 앨리스일까? 감히 소설이기에 상상이 가능함을 느낀다. 공포, 집, 여성의 두 번째 이야기 오키오브 오키허스키 팬덤 러버에서는 앨리스의 남편 윌리엄의 집착과 광기가 주를 이룸으로써 읽다 보면 여기에 빠져들어 무엇이 옳고 그름에 순간 혼돈과 함께 어지러움을 느낄 정도로 윌리엄에 빠져든다. 빛바랜 노란색이 가져오는 색에 대한 이 암담함이 이리 크게 느껴질 줄이야! 작가 버넌 리갈 표현해 내는 노란색 아니 누런색에 대한 과감하면서도 이중적인 표현이 노출되면서 독자로 하여금 섬뜩함을 느끼게 한다. 오히 허스트에 사는 그들의 비뚤어진 인간의 모습 그것은 곧 권선징악이라는 사자성어를 떠올릴 만큼 인간이 저지른 악행에 대한 징벌을 그들로부터 듣게 되는데...
루이자 메이 올컷-「비밀의 열쇠」
초라한 집에서 살고 있었던 열여덟 소녀였던 앨리스와 잘생기고 담대했던 마흔다섯 트레블린은 부부이다.곧 그들부부에게는 아이가 태어날것이고 부부사이는 꽤나 다정해보인다.그러나 트레블린의 하인킹스턴이 그들을 찾으면서부터 이상한 기류가 흐르는데 ... 앨리스는 남편의 불안한 모습에 몰래 그들이 하는 이야기를 엿듣고 쓰러지는데... 도대체 하인 킹스턴은 어떤 이야기를 트레블린에게 전달한 것일까? 앨리스 결코 듣지 말아야 할 비밀을 듣게 된 것일까? 트레블린 가문의 비밀의 역사가 담긴 역사 책부터 불길하더니 이렇게 초반부터 공포에 사로잡히게 하다니! 대체 검은 수염의 남자의 정체는 무엇일까? 며칠 전 다시 읽은 작은 아씨들의 저자 루이자 메이 올컷이니만큼 그녀만의 또 다른 고딕소설은 어떤 결말을 맺게 될까?
메리 셸리-「변신」
제노바가 고향인 청년 귀도의 이야기를 만났다. 그의 고백을 듣고 있자니 인간의 자만과 탐욕이 어디까지 추락할 수 있는지에 그 끝이 얼마나 참담한지 알 수 있는 괴물에 대한 이야기라는 생각도 들었다. 관대하고 고상했던 아버지 그런 아버지에게 토렐라 후작이란 친구가 있었고 그의 딸 줄리엣의 피후견인이 된 나는 아직 어리고 순수하고 사랑스러운 그녀를 약혼녀로 맞이했다. 하지만 파리에서의 그의 삶은 평탄치만은 않았고 줄리엣과 공유하기로 한 모든 재산을 탕진한 채 다시 고향 제노바로 돌아온다. 과연 둘은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을까? 나는 점점 인간이 아닌 악마가 되어가는 나를 발견함으로써 인간의 타락을 경험하게 된다. 자신의 소중한 육체를 바꿀 만큼 정신 못 차리는 귀도, 어떤 깨달음도 끝끝내 깨닫지 못하는 그는 난쟁이에게 빼앗긴 사랑하는 약혼녀 줄리엣을 되찾을 수 있을까?
네 작품 모두 여성 고딕 작가의 소설이라서 그런지 고딕만의 매력이 넘쳐났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공포라는 단어가 주는 소름과 여성이 주체가 되어 그 모든 것을 안고 살아가야만 했던 그녀들의 삶! 여성으로서 행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이 책 속에 펼쳐진다. 그것이 남편으로부터 벗어나 도망자의 신세가 되고 욕망에 사로잡혀 복수심에 불타오르는 삶을 살 때도 있으며 남자의 매력에 사로잡혀 그녀만의 사랑에 모든 것을 바쳐 기쁨을 만끽하기도 자신만의 존재만으로 남자를 또 다른 사람으로 변화시키기도 했다. 이제야 다시 읽게 된 여서 고딕 작가들의 작품들로부터 깨닫게 된 고딕의 세상 그것은 어쩌면 아직도 어둠 속에 갇힌 채 살아가고 있는 여성들이 세상의 빛을 향한 울부짖음은 아니었을까? 네 작품 모두 작가만의 디테일한 묘사와 특색이 살아있기에 앞으로 여성 고딕 작가들의 작품을 꾸준히 찾아 읽어보고 싶은 마음이 생겨났다. 시대의 변화를 꿈꾸며 살아가고 있을 많은 독자들에게 이번 소설은 신선한 작품세계를 선사해 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