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벼운 마음
크리스티앙 보뱅 지음, 김도연 옮김 / 1984Books / 202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가벼운 마음』

크리스티앙 보뱅(저자) 1984BOOKS(출판)

우리는 이중의 삶을 살아야 한다.

같은 수레에 묶여 서로 자기 쪽으로 미친 듯이 끌어당기는 두 마리 말과 같은, 기쁨과 고통, 웃음과 그늘이라는 두 줄기 피가 우리 마음에 흐르게 해야 한다.

-크리스티앙 보뱅-

프랑스를 대표하는 시인이자 에세이스트크리스티앙 보뱅『그리움의 정원에서』 『환희의 정원』을 읽고 나에게 너무 짙은 여운을 안겨준 작가이다. 그의 작품은 신간이 나올 때마다 읽어보려 했다. 두 작품이 사랑에 대한 찬가에 대해 작가가 썼더라면 이번 가벼운 마음은 삶의 환희를 찬양하는 시인이 소설을 썼을 때의 마음을 엿볼 수 있지 않을까라는 가벼운 마음으로 이 책을 맞이했다.

삶을 가장 삶답게 살기 위한 해답이 어쩌면 이 안에 다 있을지도 모르겠다. 크리스티앙보뱅의 가벼운 마음을 읽으며 행복한 삶을 위한 여정에 함께할 수 있어 다행이라 생각하며 책장을 넘겼다. 책표지에서부터 느껴지는 왠지 모를 편안함 가벼운 마음으로 읽게 된 크리스티앙 보뱅의 가벼운 마음을 읽으면서 뤼시와 교차되며 영화 늑대소년이 생각나기도 했다.

소설 속 주인공 뤼시는 서커스단 안에서 생활하며 진짜 늑대와 사랑에 빠졌지만 감옥 같기만 이곳에서 자신은 쉬지 않고 움직이며 자신의 삶을 살아가려 한다. 하지만 자신의 뜻대로 되는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 뤼시 역시 가출을 일삼으며 새로운 일에 도전하듯 했지만 매번 되돌아온다. 뤼시의 모습에서 많은 사람들의 고민속 방황이 엿보이기도 했던 건 삶을 살아가는 방식이 모두 다를 것 같지만 여전히 사람들은 그렇게 살고 있지 않은가....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앞으로 나아가려 했지만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는 사람들... 다른 사람이 아닌 내가 원하는 삶을 살아가기 위해 무수히 노력하는 많은 이들 앞에 뤼시는 어쩌면 해답을 주려 하는지도 모르겠다.

우리는 그들이 우리에게 품은 사랑, 우리를 충분히 안다고 믿는 사랑에서 벗어나야만 성장할 수 있다. 우리는 그들에게 말하지 않을 것들을 할 때야 비로소 성장할 수 있다.-p177

오롯이 나 자신이 되기 위함에 한발짝 나아갈때

인간의 마음을 깊이 파고들면서도 가볍게 읽혀내려가는 문체들에 설레면서도 음악 같은 소설이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 한자 한 자 곱씹으며 천천히 읽어내려 가는 나 자신을 발견했으니 말이다. 그래서 난 크리스티앙보뱅의 문체들을 사랑하나 보다. 자유를 갈망하는 뤼시는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 수 있을까? 뤼시의 삶이라면? 그녀의 생각이라면 가능하지 않을까? 그녀 앞에 나타난 남자 로망과의 인생은 어쩌면 또 다른 삶의 빛이라 생각했지만 아뿔싸! 뤼시 그녀는 다르다! 예상을 빗나가는 그녀의 행동에 난 어느새 고개를 끄덕이고 있었다.

사랑은 다른 어디에도 아닌 사소한 것들에 깃들어 있다는것을 수 많은 어른들, 현실과 내면의 수호천사에게서 배운다.-p188

더 작은 곳에서 더 많은것에서 발견하게 되는 새로운 가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 알고는 있지만 잊고 살고 있는 소중한 단어! 그것은 즐거움이었다. 너무나 단순했지만 망각하며 지냈기에 또다시 우리에겐 삶이 그저 힘들고 슬프고 고통으로만 여겨졌던 것은 아니었을까? 즐거웠기에 기억되었던 결혼하지만 그 즐거움이 사라졌기에 이혼했다는 뤼시. 상대방에 대한 관심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사랑과 행복 그 모든 걸 함축한 말 즐거움! 할머니와 뤼시의 대화는 나에게 계속 짙은 여운으로 남을듯하다. 많은 독자들이 시끄러운 세상의 소음으로부터 내 안의 영혼을 깨워준 크리스티앙 보뱅의 가벼운 마음을 통해 조금이나마 영혼을 달래줄 수 있는 휴식처가 되길 바란다.

#가벼운마음, #크리스티앙보뱅, #1984북스, #독서카페, #리딩투데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