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기만의 방 (양장) ㅣ 앤의서재 여성작가 클래식 1
버지니아 울프 지음, 최설희 옮김 / 앤의서재 / 2022년 3월
평점 :

『자기만의 방』
버지니아 울프(저자) 앤의서재(출판)
우리가 여성이라면 우리는 어머니를 통해 과거를 돌아보기 때문입니다.
이번 앤의 서재 출판사에서는 세 권의 책을 출판했다.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 에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이다. 그중 첫 번째로 읽게 된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은 1920년대에 씐 작품으로 1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많은 메시지를 주고 있는 만큼 여성들은 과연 문학계에서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는지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는 이 시대의 모든 여성들에게 던지는 글이 아닐까 싶다.
표현의 자유와 충만함은 예술의 정수이기에 전통의 결핍과 도구의 부족함, 부적절함은 여성의 글쓰기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을게 틀림없습니다.
자기만의 방이 시사하는 바는 무엇일까? 여성작가들이 많지 않았던 시대 속에서 두 차례 여자대학에서 여성과 픽션이라는 것을 주제로 강연이 된 것을 토대로 쓴 글이니만큼 그 시대적 문학계 상황을 어느 정도 짐작해 볼 수 있으며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 것이었는지 또한 자본주의가 판을 치던 상황 속에서 인권은 무시되고 돈이 세상을 지배하던 시대에 과연 남성과 여성이 동등한 입장에서 삶을 살아갈 수 있었을까에 대한 생각과 고민은 끝이 없었다. 여성이 책을 쓰기 위해서는 자기만의 방과 돈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말함으로써 온전히 나만을 위한 방이 갖고 싶어졌다.
의식적인 편견을 가지고 쓴 글은 무엇이든 살아남지 못할 것입니다.
남성과 여성, 여성과 남성이 공존하는 삶 속에서도 성별로 인한 차별이 100년 전과 오늘날 비교를 해보게 되지만 아직도 만연한 페미니즘이 이제는 변화해야 하는 때가 아닐까? 자신만의 생각과 목소리를 내며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한 편견없는 삶을 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때이다. 페미니즘의 영원한 고전이라고도 일컬어지는 자기만의 방은 가끔 펜을 잡고 글을 쓰는 나에게 글 쓰는 것이 얼마나 행복하고 자유로움을 간직한 것인지 새삼 느끼게 해준 책이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