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혹하는 이유 - 사회심리학이 조목조목 가르쳐주는 개소리 탐지의 정석
존 페트로첼리 지음, 안기순 옮김 / 오월구일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혹하는 이유』

존 페트로첼리(저자) 오월구일(출판) 사회심리학

가짜 뉴스가 판을 치던 세상이다. 아니 지금도 어쩌면 이런 말 저런 말들로 가짜 뉴스가 여기저기 떠돌며 다닐 수도 있겠다. 하지만 어떠한가? 혹해서 그런 개소리를 믿어버리는 경우도 많지 않은가? 시대가 변하고 있다. 제발 혹하지 말자라는 취지의 책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가지고 책을 읽어나갔다. 이 책은 개소리부터 가짜 정보, 직관과 편향이 만든 사고의 오류까지, 사람들이 잘못된 확신에 빠지는 이유를 심리학 연구 논문과 스토리텔링을 동원해 조목조목 밝혔다고 하니 더 궁금해졌다.

과연 우리가 혹하는 이유는 뭘까? 대체로 귀가 얇다고 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믿음이 부족해서 일까? 이리 휩쓸리고 저리 휩쓸리기 바쁘니 말이다. 어떤 상황에서 개소리를 하고 어떤 상황에서 혹하는지 낱낱이 파헤쳐 진다. 개소리를 탐지하는 과학은 사회 자체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지는 못하겠지만 저마다의 삶을 바꿀 수는 있다고 한다. 과학의 힘은 그야말로 대단하지 않은가?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일수록 더 개소리에 집착하는 것 같다.

그런 사람들의 말에 귀 기울이지 말고 근거 없는 논쟁에 휩쓸려 자신의 믿음마저 힘없는 갈대가 되어서는 안되지 않을까? 누군가 개소리를 말할 때 개소리라고 지적하는 사람이 우리 사회에 과연 얼마나 존재할까? 다른 사람의 시선을 느끼며 진정한 답을 회피하며 쉽게 그런 개소리를 용인하는 사람들에게 따끔한 쓴소리를 한다. 사람들이 다른 사람에게 받는 영향 첫째 규범적 사회적 영향, 둘째 정보적 사회적 영향이라고 한다. 우리는 이제 말과 글에서 진실을 찾고 사실과 거짓을 구별할 줄 알아야 하며 진실성을 가지고 자신이 내뱉은 말과 행동에 그에 따른 책임을 져야 하지 않을까?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려면 현실 세계에 대해 제대로 인식하고 확신해야 한다고 하는 것만큼 앞으로의 삶에 있어 더 긍정적이고 현명한 지식과 판단으로 남의 개소리에 현혹되지 말고 이 세상에 존재하는 한 많은 사람들의 긍정적 영향력으로 말미암아 우리가 혹하는 이유를 읽고 난 후 조금 더 합리적인 선택과 현명함으로 인생을 사는데 긍정의 에너지가 함께하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