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를 위한 병원은 없다 - 지금의 의료 서비스가 계속되리라 믿는 당신에게
박한슬 지음 / 북트리거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의 의료체계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되었다. 자금의 의료체계의 지향점은 무엇이고  어떻게 되고 있는 지 지금 현재의 의료체계의 현실을 간호사, 의사, 장비, 약사, 병원선택권,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 코로나19, 포괄수가제와 행위별수가제와 심사평가원, 의료와 관련한 가짜뉴스, 사회보험, 간병에 대해 데이터로 보여주어 신뢰성을 주며, 우리나라가 인구감소에 따른 노령층 인구의 중가와  젊은 층들이 감소하는 초고령화사회로 급격히 들어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우리 의료계의 기존 체계가  붕괴될 수 있는 대혼란이 일어날 수 있음을 가능성이 아닌 현실로 다가올 수 있음을 객관적으로 기술하여 경고하고 있다.

 

그러면서, 우린나라의 의료계가 복지정책과 맞물려 어떻게 해야 하는 지도 이야기하고 있다.  전반적인 우리나라의 상황속에서 의료영역만으로 한정할 수는 없지만, 저자가 제시하는 정책은 1. 예방의학적 접근을 강화하여 기존의 중년층이 노년층으로 변화하기 전에 노인질환에 미리 대비하여 현재의 선심성 정책 홍보에 따른 부작용을 없애고 장기적으로 의료비 지출을 줄이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고 하였다. 2. 의료인에 대한 보상체계를 일부 바꿔서 일종의 지원금체계로 나가야 할 것이다. 3. 지방이료체계 중 응급의료체계를 해결하여야 한다. 위와 같은 큰 정책 변환을 얘기하면서도 현재의 의료체계에서의 적용 한계점과 의료가 전국민을 대상으로 하고 있음에도 평상시에는 멀리 하게 하는 현상과 의료정책이 선심성, 홍보성 정치이벤트로 보여지는 현실에 대해 이야기하고 의료계 종사자 냅부의 시각 차이에도 어려움이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어 저자가 느끼는 한국에서의 의료계 현실을 잘 표현하였다고 생각한다. 

 

이번 기회에 내 곁에 있는 종합병원, 의원, 약국 그리고 의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약사에 대해 생각해 보았고, 요즘 일부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의료민영화를 왜 반대해야 하고, 기존의 복지와 건강 차원에서의 공공 의료보험체계를 어떻게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적용시켜야 하는 지에 대해 고민하는 계기가 된 것 같다. 노후를 위한 병원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