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전과 영원]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야전과 영원 - 푸코.라캉.르장드르
사사키 아타루 지음, 안천 옮김 / 자음과모음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별점은 책의 내용 때문이 아니라 본인의 독해력 때문.

 

 

 

양심고백을 하나 하자면, 나는 학부를 막 마친 인문학도 임에도 라캉에 대해서는 여전히 알지 못한다. 지지난 학기였나. 열정적으로 라캉과 지젝의 글에 대해 설명하는 한 교수님을 만나 정신분석학을 이해해보려 노력했으나 처참한 학점과 함께 실패했다.

 

이에 더해 르장드르는 이제껏 들어보지도 못한 철학자였고, 푸코가 그나마 친숙하다지만 그의 논지를 백퍼센트 이해하고 있는 것도 아니다. 이탓에 <야전과 영원>을 받자마자, 아니, <야전과 영원>이 이번달의 도서로 선정되자마자 꽤나 골머리를 앓았더란다. 표지만 봐서는 알 수 없던 책의 두께와 이서문을 지난 이후 시작되는 "라캉은 왜 난해한가?"를 논하는 실로 난해한 저술에 사실 독서의욕이 떨어졌다. 하여, 라캉과 르장드르를 제치고 푸코부터 읽기 시작했다. 차지하는 지면이 많은 만큼 여기 뭔가 중요한 것이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에서 였다.

(이 책은 총 950페이지에 달하는데, 뒤에 100페이지는 주석이고, 400페이지부터 그 전까지가 제 3부, 즉 푸코에 관한 이야기다. 말하자면 내용의 지분 절반이 푸코에게 있고, 라캉과 르장드르가 나머지 반을 나눠 가지고 있다.)

 

내가 읽어본 푸코의 저작은 <안전, 영토, 인구>와 <사회를 보호해야한다> 뿐이다. 그마저도 후자는 영어본으로 접했던 터라 제대로 이해했다 보기엔 무리가 있다. 때문에 푸코를 시작할 때에도 꽤 걱정을 했는데, 다행히 아타루는 3부의 1장부터 6장까지 푸코의 이론을 설명하는데 할애, 친절히 하나하나 짚어준다. 물론 아타루 본인의 논지를 따라가다보니 다소 선별적인 소개가 되는 것은 사실. 하지만 푸코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는 나 같은 독자로서는 푸코의 이론을 푸코의 언어보다 친절한 언어로 만날 수 있으니 다행스러운 일이다. XD 심지어 굉장히 즐겁게 읽을 수 있으니, 그것만으로도 이 책의 의미는 충분하다 하겠다.

 

아타루는 이 푸코에 대한 장을 천천히 기술해나가며, '오래된 것(주권 개념)은 사라지고, 새로운 것(규율/생명정치)이 그 자리를 대신한다.'는 푸코의 초기 주장이 어떻게 전복되는지, 그리고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절반의 독서였으나, 이런 아타루의 논의가 왜 "인간의 주체화"와 연결되는지, 그리고 왜 반목하는 두 인물, 라캉과 푸코- 그리고 르장드르를 끌어들여야했는지는 이해할 수 있었다. 아타루의 책은 '사람은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대해 나름대로 답했던 세 인물을 끌어들여 절충하는 책으로도 보이고, 아타루 본인이 가지고 있는 생각을 이 세 인물을 통해 주창하는 책으로도 보인다.

 

장장 950페이지에 달하는 이 책을 통해 아타루가 말하려는 바는 꽤 명료하다고 생각한다.

그는 끝없이 얘기되는 많은 존재들(역사나 문학 같은)의 종언, 거기 섞인 비관주의와 무기력을 비판한다. 푸코가 제시한 개념인 '규율적 생명정치'는 여러가지 우연의 결합이 낳은 결과임을 지적하고 따라서 언제든지 '바뀔 수' 있음을 말하는 것. 그게 아마 이 책의 목적이 아닐까? 보이지 않는 지배, 보이지 않는 적과 그에 따른 '길잃음'의 감각이 휩쓸고 있는 현재의 인문학에 대한 석학의 질책이라 해도 좋을 것 같다. 푸코가 <감시와 처벌> 마지막 문단에 쓴 두드리는 소리에 대한 아타루 나름의 애정과 집념 역시 이 연장선상에 있으리라. 책 제목이 암시하듯이.

 

계속 필기를 하며 읽었는데, 유독 문장 그대로 받아쓴 부분이 있다. 나로서는 이 책의 핵과 맞닿아있다고 느꼈던 부분이다.

 

"근대인이란 정치 내부에서 살아가는 존재로서 자신의 삶 자체가 문제시 되는 동물이다. 이는 삶이 '삶을 지배하고 경영하는 기술'에 모조리 포섭되었다는 말이 결코 아니다. 삶은 그로부터 쉼없이 도주하는 것이다."

 

 

 

*) 개인적으로 덧붙이는 이런 저런 생각.

1. 읽으면서 바우만과 바타유가 계속해서 떠올랐다. 바타유의 에로티즘을 읽을 때 분명 무진 애를 썼던 것 같은데, 이제와 보니 내용이 선명하게 떠오르질 않는다. 다시.. 읽어야지..

바우만은 왜 자꾸 떠오를까, 그가 논하고 있는 '리퀴드 근대'나 현시대의 도덕적 불감증 같은 개념은 푸코보다 좀 더 후대의 것인데. 그의 비관적인 포즈 때문일까? 아니면 단순히 내가 읽은 얼마되지 않는 철학책의 저자이기 때문일까?

 

2. 읽다보면 결국 인간 사회의 근원에는 종교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유럽의 경우 그리스도교. 동양은 유럽의 근대적 형식이 들어왔기 때문에 비슷해진 걸까? 아니면 사목 같은 형태가 동양에서도 이미 오래전부터 존재했을까?(이를테면 공자와 그 제자들처럼)

 

3. 학교/수도원/감옥 등이 만들어냈던 규율과 신체의 관리는 최근에도 많이 얘기되고 있는 것 같다. 몸의 탄생 이라는 책도 있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비단 기관만이 아니라, 이제는 상품이 이런 규율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하고 있는 듯 하다.

 

4. 이 책에서 '세속화'라는 단어를 종종 보는데 뒤만 독해를 했기 때문인지 정확하게 무엇을 뜻하는지 와닿지가 않는다. 이를테면, "푸코는 세속화를 믿고 있다."같은 문장은 무슨 뜻일까? 혹시 설명해주실 분 계신가요 ㅠ.ㅠ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