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로 산다는 것 - 잃어버리는 많은 것들 그래도 세상을 살아가는 이유
제니퍼 시니어 지음, 이경식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4년 4월
평점 :
품절


<아빠 어디가>, <슈퍼맨이 돌아왔다> 등 리얼리티 육아 프로그램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딸바보, 아들바보 등의 단어들을 탄생시키며 자식을 키우는 재미, 육아의 즐거움과 부모로서의 성장기를 담아내면서 시청자들의 마음을 움직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프로그램이 방영되면서 많은 미혼남녀들은 '나도 딸바보, 아들바보'가 되고 싶다고 많이들 얘기한다. 물론 자식을 키우는 데 있어 즐거움이 더 크겠지만, tv는 tv일뿐! 보이는 것이 다는 아니다. 아이를 통한 행복도 사랑과 기쁨도 있겠지만 반면에 슬픔과 아픔과 괴로움도 분명 있다.  

 

   <부모로 산다는 것>은 육아서가 우후죽순 출판되는 시점에서 패러다임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는 책이다. 기존의 육아서들의 관점이 부모에게서 아이들로 향해져있다면 <부모가 산다는 것>은 아이에게서 부모로 향해져 있다. 기존의 책들이 부모는 아이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이렇게 양육해야 한다, 아이가 이런 행동을 보일 때는 어떻게 반응하고, 태도를 취해야 할까 등 육아와 양육에 대한 조언을 하는
책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부모가 산다는 것>은 오히려 부모보다 아이들이 부모에게 끼치는 영향이 더 많다는 것. 그래서 아이들을 통해서 부모가 모든 어려움을 이겨내고 한 인간으로서, 가족의 구성원으로 결국 '부모'로서 우뚝 서는 성장담을 담고 있다.  

 

  또한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아이들이 부모에게 많은 영향을 끼친다'라는 저자의 견해를 심리학, 경제학, 철학 등 다양한 학문과 연계시키고, 방대한 인터뷰와 실제 사례를 통해서 굉장히 설득적이고 논리적으로 펼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부모'가 된다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일이라는 것을 다시금 깨닫는다. 그러나 그것이 부모로서 희생하고, 인내하는 과정을 넘어 한 아이를 통해 한 인간으로서 성숙해지는 과정, 나아가 더 작은 것에 기뻐할 수 있고, 공감할 수 있는 '자아'를 만들 수 있는 기회와 소중한 시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