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의 미술관 - 그림이 즐거워지는 이주헌의 미술 키워드 30 이주헌 미술관 시리즈
이주헌 지음 / 아트북스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 여름방학때 서울로 여행을 갔었다. 지방에 사는 나는 일가친적하나 없는 서울에 가는 것도 굉장히 큰 여행이였는데 이 서울 여행에서 가장 기억이 남았던 곳이 바로 서울시립미술관의 르누아르전 이였다.

명색히 서울 여행을 가는데 꽤 의미있는 곳에 가고싶다는 이 기특한 생각을 시작으로 해서 검색을 하던 중에 서울시립미술관에서 르누아르전이 열린다는 걸 알게되었다. 그리고 바로 가야겠다라고 생각했는데 바로 그 이유는 미술에 문외한인 내가 그나마 큰 감흥(?)을 받았던 그림이 르누아르의 <피아노 치는 소녀들>이였기 때문이다. 이 그림을 실제로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 생각하고 갔었는데 기말고사를 막 끝내고 가는 거라 르누아르라는 작가와 그의 그림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고 가게 되었다. 르누아르전을 보러 간 것 까지는 좋았으나 아무 지식도 없다보니 솔직히 뒤에가서는 지루하기도 했었다.

이런 경험을 모태삼아 앞으로 전시회 전에는 최소한의 기본적 배경지식들을 쌓고가면 더 재미있게 관란할 수 있지 않을까 하고 생각했었다.

사실 미술이라는 분야는 배경지식이 많다고 잘 감상할 수 있는 건 아니지만 아예 지식이 없는 경우 지루하고 따분한 분야로 생각하기 쉽다. 이런 의미에서 이주헌의 「지식의 미술관」은 미술에 대해 지식이 없는 사람들에게 쉽고 재미있게 미술 관련 지식들을 알려주고 또 미술에 대해 흥미유발을 도와준다.

이 책의 구성을 보자면 총 서른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미술표현 기법과 소재이야기, 사회와 관련된 미술, 그리고 현대미술과 미술시장에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들을 재미나게 들려준다. 이러한 미술 이야기들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이유 중의 하나는 바로 미술과 다른 분야의 관련성을 예로써 들며 설명하기 때문이다.


작은 것을 크게 확대함으로써 일상을 파괴하고 새로운 모험에 나서는 이런 데페이즈망적 시도는 예술을 넘어 비스니스 세계에서도 곧잘 볼 수 있다. (p.19)

데페이즈망이라는 미술적 기법을 킴벌리 클리크가 시도하며 크게 성공한 예를 소개하며 미술과 비스니스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생각 할 수 있게 해준다.

또 피카소의 명작 <게르니카>가 게르니카 공습이라는 전쟁의 비참함을 모태삼아 만들어졌다는 일화를 이야기하며 미술이라는 분야가 사회의 여러 사건들과 연계성을 가지며 서로 영향을 주고 받고 발전했으며, 문화전쟁이라는 러시와아 미국 사이의 대립으로 미국 CIA가 주도적으로 미국만의 문화 형성 창조를 위해 노력하며 탄생한 것이 추상표현주의라는 흥미로운 이야기도 알 수 있다.

내가 이 책을 읽으며 가장 지식을 습득(?)했다고 느꼈던 부분은 바로 '스탕달 신드롬'이라는 꼭지다. 자주가는 독서 리뷰 파워블로그인 에고이즘님의 블로그에 가면 '스탕달 신드롬'이라는 카테코리가 있다. 나의 단편적인 지식에 의하면 스탕달이 쓴 작품은 읽어보지 못했어도 스탕달은 작가라는 사실은 알고 있었다. 그런데 이 카테코리에는 미술에 관련된 포스팅들이 있었으니 도대체 왜 이 카테코리의 명칭이 스탕달 신드롬인지 항상 궁금했었다.(진짜 물어보기엔 자신이 없었다 ㅎㅎ) 그런데 「지식의 미술관」을 읽으며 그 이유를 알게되었다.

스탕달 신드롬은 19세기 프랑스 문호 스탕달의 이름을 딴 병리현상을 말한다. 사람에 따라 걸작 미술품을 보고 갑자기 흥분 상태에 빠지거나 호흡곤란, 우울증, 현기증, 전신마비 등의 이상 증세를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 증세가 스탕달 신드롬이다. (p. 134)

'스탕달 신드롬'은 스탕달의 <나폴리와 피렌체 - 밀라노에서 레조까지의 여행>에서 산타 크로체 교회를 떠나는 순간 심장이 뛰고 쓰러질것 같았다라고 서술한 부분에 의거해 만들어졌으며 이것은 미술작품을 보고 큰 감흥을 받아 신체에 나타는 현상들을 의미하는 용어였던 것이다. 나는 그것도 모르고 블로그를 들어갈때마다 의문을 품었으니 참 그동안 까막눈으로 살아왔다는 기분이 든다.

이 외에도 「지식의 미술관」에는 현대에 와서 미술이라는 분야가 점점 사람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가며 등장한 이티스트 마케터나 아트 어드바이저등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해서도 소개해준다.
이 책을 읽으면서 '미술'이라는 분야가 단순히 그림이라는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과, 사람과, 화가와 그 밖의 많은 분야와 함께 커뮤니케이션하며 탄생하는 사회적 산물이라는 생각을 하게되었다. 그리고 이 미술이 인류의 역사와 일상에 자연스레 스며들어와 어디하나 연관되지 않는 부분이 없다는 것도 알게되었다.

또 어렵기만 했던 미술, 그림이라면 고급 문화라 생각했던 착각, 지루하게만 생각했던 미술들에 대해 가졌던 그 긴장감을 풀고 이제는 조금 더 편안하게 미술에 대해 알아나갈 기회를 얻었다. 뿐만아니라 미술에 대한 지식과 함께 사회에 대한 지식과 상식까지 얻어가니 나는 이 책을 통해 두마리 토끼를 잡은거 같아 마음과 머리가 든든해진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