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 하는 날 🪭출 ㅡ 봄봄글 ㅡ 안덕자그림 ㅡ 이윤민 🎏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강릉 단오굿 편견을 버리고 마주하면, 흥겨운 예술로 하나가 되는 축제! 🎏 🎊 신명나는 굿의 세계 궁금하면 알아보자구. 🎎🪘꽹과리가 개갱갱갱갱 개개개 갱갱 북소리가 두둥둥둥둥 두두두 둥둥징소리가 더덩덩덩덩 다다다 당당피리소리가 삐리리리리 삐삐삐 리리 🪈 전통악기의 신나는 소리가 들리는 거 같지? 나는 사물놀이에서 꽹과리를 쳤었어. 꽹과리 소리가 '꽹꽹' 여기에 들어는 거 같아. 대학교때 국어국문학을 전공해서 굿에 관해 배웠고 실제로 가서 보기도 했어. 👹 울산은 '처용굿'을 하는 데 나는 처음보고서는 좀 무섭더라구. 그리고 굿당에서 하는 굿을 보고는 더 더 무섭더라고. 근데 주인공 꼬마 여자 친구는 하나도 무섭지 않나봐. 주인공 친구 할머니는 굿을 하시는 분이야. 사람들은 그런 주인공 할머니를 보고 '무당각시'라고 부르지. 🥁 마을에서 별신굿판을 벌리는 데, 우리 할머니는 큰 굿판을 벌릴거야.우리 할아버지는 그런 할머니 옆에서 장구를 치지. 할아버지 옆에는 꽹과리, 북, 징을 치는 아저씨도 있고 피리를 부는 아저씨도 있어. 이렇게 악기를 연주하는 아저씨들을 '화랭이'라고 해. 🎐 우리 할머니는 참외씨 모양의 하얀색 버선을 신고, 꽃분홍 치마에 연두 고름이 달린 저고리를 그 위에 기다란 조끼 모양의 쾌자를 입고 노란색 솔대를 둘렀어. 머리에 달비를 틀어 올리고 이마에 하얀 띠를 두르셨지. 매듭짓는 곳에 하얀 장미꽃 한 송이가 피어나. 🫧 손에는 바라와 은방울과 부채를 들고 음식과 꽃이 가득 차려진 굿당 앞에서서는 "모든 잡귀들은 물럿거라. 썩 물러가랏!" 할머니의 부정굿 뒤에 화랭이들이 신이나게 사물을 두드려 대거든. 그러면 사람들도 어깨가 들썩들썩. 나도 들썩들썩. 보는 이모도 들썩들썩. 🔮 할머니는 노래를 부르며 신에게 소원을 빌어. 할머니의 솔대에서 사람들이 꽂은 돈으로 빼곡히 꽂혀 있어. 돈을 왜 꽂을까? 할머니가 사람들의 고민을 대신 신들에게 빌어주니 감사를 표하는 것이기도 하고 또 찾아와주시는 신들에게 고마움을 표하는 돈이기도 하지. 🛠️ 사이가 좋지 않은 용왕신과 산신도 굿당에 찾아오니 할머니는 '화해굿'으로 두 신을 화해를 시켜주기 위해 덩실덩실 춤을 춰. 두 신은 할머니 덕분에 화해를 했어. 🔰 그런다음 할머니는 다른 무당들과 돌아가며 열두 가지 굿을 해. 굿을 하는 사이 화랭이 아저씨들이 탈놀이도 하고 연극도 하고. 구경하는 모두들 깔깔깔. 🛶 이렇게 우리 할머니가 굿을 한 덕분에 갯마을 포구에 들어오는 배마다 고기가 가득가득. 마을 사람들의 얼굴에는 함박웃음이 피어나고 다들 해피 엔딩. 다 우리 할머니 덕분이랍니다. 🪭 이 책은 '굿'에 대해 전혀 모를 이야기를 잘 풀이해서 옆 집 아이의 이야기같이 편히 써졌어요.'굿'에 대한 편견을 버리기에 너무 좋은 책입니다. 아이들에게 다양한 책을 읽힌다고 하지만, 이 책은 완전 놓칠 수 있는 이야기를 하고 있어 너무나 좋은 책이랍니다. 어른, 아이 모두에게 추천하고픈 책이에요. 편견을 버리고 읽어보아요. 이 책은 채성모의 손에 잡히는 독서를 통해 봄봄출판사에서 도서선물을 받아 하을모녀가 읽고 쓴 주관적인 글입니다. 책 선물 감사합니다. *┈┈┈┈*┈┈┈┈*┈┈┈┈*┈┈┈┈*┈┈┈┈*┈┈┈┈꽃더미 안의 책 한송이 •┈┈┈•┈┈┈•┈┈┈ℒᵒᵛᵉ ᵧₒᵤ .•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