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음 한국사 : 15세기, 조선의 때 이른 절정 - 조선 1 민음 한국사 1
문중양 외 지음, 문사철 엮음 / 민음사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역사의 마지막 왕조는 조선이지만 조선에 대하여 어딘지 모르게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특히 고려를 멸하고 조선을 세우는 과정이 역성혁명이라는 것과 유교문화의 전통에서 조선말의 쇄국정치로 인하여 발전이 늦어졌다는 것등과 더불어서 다시 현대한국으로 넘어오기 직전에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왜곡으로 인하여 더더욱 부정적으로 여기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그렇지만 대부분 역사를 성적을 위해서만 공부하다 보니 이러한 오해를 초래한 것이라 생각된다.

 

 

우리 역사를 우리만의 상황이 아니라 세계사 속에서 한 부분으로 씨줄과 날줄을 엮어가듯이 쳐다볼 수 있도록 정확한 구분은 아니지만 세기단위로 조선건국에서 안정화까지의 15세기 조선의 역사를 다각도로 살펴볼수 있도로 잘 엮어놓은 책을 만난 것은 행운이다. 고려의 충신의 대명사인 정몽주에 대하여도 처음부터 이성계와 반목을 한 것이 아니라 당시대의 부패에 대하여 개혁을 하는데 동지였다는 점은 신선한 충격이 아닐수 없다. 또한 붕당정치를 자신의 당의 이익에만 치우치는 그릇된 정치가 아니라 언론의 자유가 보장된 선진화된 정치를 위한 것이 목적이라는 것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조선의 훌륭한 점이다. 특히 왕권과 신권과 삼사(사간원,사헌부,홍문관) 공존으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상호 견제가 가능하도록 한 것은 민주주의 삼권분리와 크게 의미적으로 다르지 않다.

이러한 조선의 장점들을 상세히 알게 되었을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전해져 오는 유물로 조선시대를 이끌고 갔던 선비들이 바라본 세계관은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에 잘 나타나 있다. 비록 원본은 없고 사본만 전해지고 있지만 당대의 최고의 세계전도라고 할수 있을정도로 상세하게 되어 있고 아프리카까지 포함하고 있는 지도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중국중심의 사고이기는 하지만 크기로 빗대어 볼때 중국에 버금가는 크기로 조선을 나타내고 있으며, 일본과 발해 몽고 지역은 상대적으로 축소시켜놓고 있다. 이는 조선을 중국에 버금가는 국력을 가진 국가로 생각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있다. 

 

15세기 세계사의 흐름속에서 조선이 처한 상황에 맞게 대처한 모습을 이해하는 폭을 넓히는데 큰 도움이 되었을 뿐만아니라 조금은 부정적으로 왜곡되어진 조선의 사대주의의 속에는 올바르게 나아가고자 했던 대의와 노력이 있음을 알게되었다. 본책에서 상세한 설명과 더불어 그림과 주변 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추가함으로써 이해를 돕고 있지만 소책자에서는 오로지 글로만 구성되어 있어서 들고 다니면서 읽어 보기에도 참 편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야기책처럼 짬짬이 읽고 본책으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어서 역사를 공부해야 하는 수험생들에게도 큰 무리없이 조선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이제 고1인 아들에게도 짬짬이 읽어가면서 역사에도 흥미를 느끼고 성적에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것은 부모로써의 너무 큰 욕심일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대 속눈썹에 걸린 세상 - 허허당 인생 잠언록
허허당 글.그림 / 북클라우드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으면 훌쩍 여행을 떠나거나 산이나 들로 휴식을 하러 가지만, 삶에서 회의를 느끼거나 정신적인 방황을 하게 될때 우리는 어디로 떠나야 할 것인가? 그저 삶에서 도피하고 생각을 잊어버리기 위해서 술을 마셔야 할까? 영원히 도피할 수 없다는 삶과 직면해야하고 마음의 문제를 다스려나가야 한다. 마음을 다스린다는 것이 결코 쉬운 것은 아니겠지만 어떠한 마음가짐이 평온함을 가져오고 그 평온함이 글로 잘 표현된 책을 만나게 된 것은 행운이 아닐수 없다. 마음에 응어리가 생기려고 하는 사람들은 잠시 시간을 내어서 책을 펼쳐보면 전혀 새로운 세상을 만날수 있을 것이다.

너무나도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 본인들 스스로도 바쁘게 살아간다고 생각하지만 정말로 바쁘게 살아가는 것일까? 무언가 놓치고 가는 것은 아닐까? 우리가 알고 있는 "고요"란 조용한 것이 아니고 "시끄러움 속에서도 존재의 내면을 깊이 바라보는 것이다" 라는 말은 가슴속에 막힌 무엇을 뻥 뚫어준다. 자신의 삶이 바쁘고 정신이 없다고 하는 것은 외부에만 의존하며 스스로의 내면을 바라보지 못하는 것은 아닐까? 조용히 앉아서 자신을 돌아보는 노력은 해본적도 없이 그저 바쁘다고만 소리치는 것은 아닐까?

 

살아가면서 수 많은 관계속에서 자신을 드러내고 나의 행동을 과시하기 위해서 얼마나 노력하는가? 해마다 연말이면 하는 불우이웃돕기 행사나 명절때 스스로의 위치를 뽐내기 위해서 적선하듯이 베푸는 모습에서 무엇을 느끼는가? 베푸는 사람은 자신의 관대함을 느낄테고 받는 사람은 관대함을 느끼는 만큼이 상처를 받는 것은 아닐까? 그러고서는 서로가 행복하기를 바라는 것일까? 삶이란 인간사이의 관계를 만들어 가는 것일진대, 어찌 사람들은 스스로가 그 관계를 엮어가려하지 않는 것일까? 오늘 내 행동이 어떠해야지 내일 그들과의 만남이 어떨지 쉽게 짐작이 되지 않는가? 행복한 얼굴을 만나고 싶다면 무엇을 해야할지 더 말해 무엇하리요..

 

책 곳곳에 숨어있는 즐거움중의 하나가 독자들마다 제각각 다르게 다가오겠지만 다양한 삽화들이다. "지혜의 눈" 사람의 눈이 아니라 두마리의 새가 날아가는 모습으로 표현해놓았다. 단순히 지식이 많은 사람의 눈이 아니라 자연의 섭리로 저절로 느껴지는 마음의 눈을 말하는 것은 아닐까? 무엇을 꿰뚤어 보고 정답을 찾아내는 그런 눈이 아니라 그저 바라보고 응원하고 스스로 일어설수 있도록 격려와 칭찬과 기다림의 눈이 아닐까?

 

"허공에 핀 꽃"은 또 어떠한가? 전체로 보면 말그대로 허공에 핀 꽃이고 개개로 보면 각각의 새들이 아니던가? 우리의 삶이라는 것이 각각이 모여서 또다른 큰 하나를 이루는 것과 똑 같지 아니한가? 그렇지만 그것이 어떤 실체를 가진다기 보다는 허공 속에 핀 꽃처럼 바람불면 사라져 버리는 것이 될지도 모르는 것을 말하려는 것은 아닐까?

 

삶이 어떠하더라도 우리의 선조들이 그러했듯이 결코 해학을 잊지 않고 있다. "눈을 내리고 / 바지를 내리고 / 똥을 내린다 / 하! / 모든 것을 내리니 / 마음이 한가롭네" 내가 가진것이 무엇이건 그것을 내려놓는 순간 마음이 풍요로워 진다는 것을 참 해학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무거운 이야기를 웃음지으며 읽을 수 있기에 쉽게 가슴에 다가오는 것 같다.

 

삶을 살아가면서 힘이 들고 스스로가 세상에 부침을 느낄때 가장 필요한 것이 마음을 다스림이 아닐까 한다. 결코 쉽지 않은 말이고 누구에게도 도움받기 쉽지 않은 것이다. 무겁고 어려운 문제들이 대부분일 것이기에.. 그렇지만 그런 무거움을 새털같이 가벼이 여기며 쉽게 이야기하고 마음을 쓸어 내리게 해준다. 글과 그림이 절묘하게 어우러져 가슴에 응어러진 고통을 살그머니 보듬어 주는 느낌이다. 지금 몹시 힘들다면 잠깐 짬을 내서 책을 펼쳐보기를.. 마음의 평온을 찾는다면 그 다음은 다 해결된 것과 마찬가지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