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사를 보다 1 : 회화사.조각사.도자사 - 이미지와 스토리텔링의 미술여행 한국미술사를 보다 1
심영옥 지음 / 리베르스쿨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부터인지 외국산 명품에 목숨을 거는 사람들이 늘어만 간다. 가끔씩 열리는 외국 문화 축제에는 가지 못해서 안달이지만 정작 우리의 문화재에 대한 관심은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 궁금하다. 명품백을 걸치고 어느나라의 누가 디자인했느니는 꿰차고 있으면서 우리 고궁의 문화재는 어느시대 작품인지도 모르는 사람들도 있다. "가장 한국적인것이 가장 세계적인것이다"라는 말은 배타적으로 변하자는 의미가 아니라 우리의 것을 제대로 알고 장점은 널리 알리고 단점은 극복하자는 의미가 아닐까? 그런 의미에서 우리 문화중에서 가장 일상 생활에 근접해 있는 미술사를 되새겨 보는 것은 참으로 의미 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게다가 미술사 중에서도 회화, 조각과 도자기의 세부분으로 좀더 구체화 해서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책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미술사라고 해서 너무 거창하게 느낄 필요도 없습니다. 우리 일상에서 보는 것들을 조금만 더 자세히 들여다 볼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습니다. 선사시대의 암각화에서 빗살무늬토기, 고려청자, 불상 등등은 너무나 쉽게 만날 수 있지만 배경지식을 조금만 더 알고 본다면 흥미롭고, 아름답게 느껴질수 있습니다. 아는만큼 보인다는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니지요...

불상이 다 똑같다고 생각했지만 시대에 따라 미소도 조금씩 다르고 신체의 비율도 달라진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네요. 국사책에서만 보고 글자로만 익히고 외우던 것을 그림으로 보고 설명을 들으니 머리에 쏙쏙 들어 옵니다. 책을 보고 있다는 느낌보다는 박물관에서 설명을 들으면서 지나가는 느낌.. 혹은 시골로 여행을 떠나서 고즈넉한 사찰에서 설명을 들으면서 불상을 바라다 보는 느낌입니다. 무언가를 배우고 익힌다는 것이 아니라 지금껏 알지 못했던 새로운 것을 접하는 그런 느낌입니다.

전세계 최고의 명품 반열에 올랐던 고려청자의 탄생도 우연히 발견된 것에서부터 끊임없는 노력의 산물임을 알게 되었지요. 고려청자를 비롯한 여러 훌륭한 많은 것들이 일제강점기를 통하여 쇠퇴하게 된 것이 많이 아쉽네요. 문화라는 것이 그저 멋지고 아름다운 것들로만 구성되어 있는것이 아니라 아픔, 고난까지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기에 문화라는 것이 삶의 내면을 은연중에 드러내고 있다는 것이지요. 이런 고유의 우리 문화를 조금더 깊이 있게 이해하게 됨으로써 다른 나라의 문화도 훨씬더 개방적인 자세로 맞이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네요.

박물관을 가든지, 시골로 여행을 떠나서 길에서 만나는 문화재를 보던지 아니면 등산을 하면서 들르는 사찰에서 불상을 보던지. 지금껏 그냥 스쳐지나가듯이 보게되었다면 이제는 한걸음 더 다가가서 보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아주 쉽게 설명해주듯이 쓰여져 있기에 학생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것 같고, 국사 공부를 해야한다면 공부 이전에 흥미를 북돋울 수 있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