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수꾼
하퍼 리 지음, 공진호 옮김 / 열린책들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퍼리의 "앵무새 죽이기"를 읽고서 파수꾼을 다시 읽으니 마치 쌍둥이 소설을 읽는 느낌이다. 다른 듯 하면서도 같아보이고 같은듯 하면서도 다른 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등장인물이나 배경등은 동일하지만 각 인물들이 보이는 특성 또한 조금씩 다르게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파수꾼"이 내게는 "앵무새 죽이기"보다는 조금 더 어렵게 다가 오는 것은 미국,영국의 근대사에 일어난 사건들을 여과없이 툭툭 던져두기 때문인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야기 전체를 이해하는데는 큰 어려움이 없네요.

파수꾼에서는 등장인물들이 자신의 상황에서 자신이 어떠한 행동으로 해나가야 하는지 당시의 전형적인 인물들을 대표해서 생각을 여과없이 드러내고 있다. 상류층은 아니지만 백인으로 살아가는 행크의 말을 들어보자. "나는 뭐든 내가 가진 것을 얻어내기 위해 열심히 일해야 했어. 나, 광장 건너편 그 가게에서 일했잖아. 거의 항상 피곤에 절어서 수업을 따라가는데 급급했어. 여름에는 집에 내려가 엄마 가게에서 일했고, 거기서 일하지 않을 때는 집에서 열심히 공부했어. 진 루이즈, 나는 아주 어렸을 때부터 너나 젬이 당연하게 누려오던 것들을 위해 돈을 차곡차곡 모아야 했어. 네가 당연한 것으로 여겼던 어떤 것들은 한번도 가져보지 못했고 앞으로도 그럴거야, 내가 의탁할 대상은 오직 나 자신 밖에 없었어." 가장 미국적인 말일지도 모른다. 노력하는 것 만큼 자신에게 돌아오는 것.. 그러나 이 소설의 배경 당시에는 귀족계급이 모든 것을 독차지하고, 흑인 노예와 일반인은 그들을 위해서 존재하는 부속물인 시대를 갓벗어났지만 여전히 잔재가 남아 있는 시점이라면 이 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현대의 일반인들이 재벌의 자식들을 보는 것과 비슷한 심정이지 않을까?

농촌 시골마을에서 자라서 뉴욕에서 생활하다가 잠시 휴가를 보내러 다시 시골로 내려온 진 루이즈. 그녀는 이 소설의 주인공이기도 하고 뉴욕에서 인종차별없이 생활해 왔기에 다시 돌아온 시골에서 인종차별적인 발언들을 서슴없이 던지는 친구, 가족들에게서 소외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자신은 결코 이들과 융화되어서 살아갈 수 없다고 느낀다. 그렇지만 아버지,삼촌, 고모와의 대화와 언쟁을 통하여 그녀가 깨닫게 된것은 뉴욕에서의 삶이 평등한 삶이 아니라 상대 혹은 주변에 무관심한 삶이고, 자신이 태어난 바로 이곳에서의 삶은 비록 불평등한 모습이 보이더라도 그들을 도와 올바르게 성장해 나가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은 아닐까?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서 자신에게 불편함이 없다면 상대가 무엇을 하든지 무관심해지는 그런 모습을 진 루이즈의 행동을 통해서 보게됩니다. 그러면서 한 개인이 사회에서 존재가치를 가지기 위해서 어떠해야 하는지 생각하게 됩니다.

또다른 측면으로 흑인과의 갈등, 인권등의 이야기를 할 수도 있겠지만 그건 독자의 몫이겠지요. 소설의 후반기에 진 루이즈가 행크, 아버지, 고모, 삼촌과 함께 언쟁을 벌이면서 내적 성장을 이루어가는 부분은 숨돌릴틈 없이 급박하게 전개되면서 소설의 재미와 깊이를 더해 줍니다. 이 즐거움을 다른 분들도 느껴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