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의 일인자 1 - 1부 마스터스 오브 로마 1
콜린 매컬로 지음, 강선재 외 옮김 / 교유서가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양 문명의 기틀을 이룬 로마 문명에 대하여 단편적인 역사의 기록만을 알고 있을뿐 로마 시대의 사회상에 대하여 깊이있게 생각해본적이 없네요. 영화나 소설에서도 특정 인물의 영웅담이나 일대기 형식의 이야기만 부분적으로 기억할뿐 당시의 시대상을 포괄적으로 보여주는 책을 본 기억이 없네요. 그러나 "로마의 일인자" 그 첫권은 무려 500페이지 정도의 방대한 분량이지만 기원전 110년부터 약 3년의 이야기를 펼쳐가고 있습니다.

총 3권으로 구성된다고 하니 2권,3권이 더 기대되는 까닭은 1권의 전개가 너무나 잘짜여져 있고, 숨쉴틈 없이 전개되기 때문입니다. 단지 처음에 이름들을 익히느라 조금 혼란스럽기는 하지만 이름이 익숙해지고 나면 이야기속으로 빠져들수 밖에 없네요.

오랜기간동안 로마가 강대국으로 남아있을 수 있었던 것은 이민족에 대한 포용정책이라고 알고는 있었지만, 완전한 평등이라기보다는 시민권이라는 제도를 통해서 이민족을 흡수 포용했으나, 핵심은 여전히 로마인들에 의해서 움직은 모습을 생생히 묘사되어 있네요. 그러기에 로마인의 주류사회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귀족이면서도 풍부한 재력을 지녀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술라는 귀족가문의 일원이지만 가난했기에 돈많은 애인과 의붓어머니의 성적노리개로 거의 무위도식하는 사람이었는데, 애인과 의붓어머니를 죽이고 물려받은 재산으로 일약 주류사회로 진입하는 길을 만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철저하게 계산된 행동은 추리소설을 읽는듯 흥미진진하다.

반면 마리우스는 이민족으로 전장에서 젊음을 보낸 명장이지만 단순히 로마 전통 귀족이 아니라는 이유로 집정관에 오르지 못하고 있었지만 유서깊은 가문중의 하나인 카이사르 가문과 혼인을 통하여 집정관의 위치에 오르게 된다. 물론 카이사르 가문역시 귀족이지만 넉넉하지 않은 재력으로 인하여 두 아들과 두 딸을 로마의 주류사회에 남게 하기 위해서는 젊음을 전쟁터에서 승승장구하며, 전리품으로 엄청난 부를 가진 마리우스와 전략혼인을 통하여 서로 윈윈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카이킬리우스 가문의 집요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결국에는 집정관에 오르기까지의 마리우스의 모습에서는 진정한 리더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비록 부족해보이기는 하지만 아프리카 속주 누미디아의 왕자 가우다에게 자신을 낮추면서 얻고자하는 것을 얻는 모습에서 비열함보다는 진정성이 더 느껴지는 것은 단순히 가우다 왕자를 이용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어려움을 비록 자기보다 못해보이는 사람이라고 할지라도 진정으로 귀하게 여기면서 도움을 청하는 모습이 상상이 된다. 결코 서두르지 않고 무리하지 않으면서 자신이 가진것을 최대한 활용하고 주위의 말에 자신을 낮추는 모습에서 진정한 리더의 모습이자 로마의 일인자의 모습이 그려진다. 가우다 왕자의 신녀 마르타에 의하여 복선을 깔고 있지만 2편 3편에서 마리우스의 이야기가 더욱 기대되는 까닭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