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은 날은 전부 휴가
이사카 고타로 지음, 김소영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삶의 남은 날이 전부휴가라면 어떨까? 하루하루의 일상에 지치버린 샐러리맨들에게는 눈이 번쩍 뜨이게 하는 말이 아닐까? 책 제목에서 풍겨져 나오는 기대감을 감출수가 없다. 그렇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주인공 미조구치와 오카다는 평범한 사람이 아니라 오히려 범죄자에 가까운 삶을 살아간다. 특별히 정해진일없이 다른 사람의 약점을 잡아서 돈을 갈취하는 내일이 없는 밑바닥 삶을 살아간다.

이들에게 어떠한 일이 생겨서 남은 날은 전부 휴가가 될수 있을까? 소설의 구성은 현재의 이야기를 하면서 점차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고 있지만, 읽어 내려가면서 과거부터 현재까지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어서 전혀 어색함없이 한편의 멋진 줄거리로 이어진다. 줄거리를 모두 풀어헤친다면 책을 읽는 재미를 반감시키기에 이들에게 어떤일이 생겨서 남은 날이 전부 휴가가 되었는지는 각자의 몫으로 남겨두고 싶다. 그 대신 작은 부분에서 느껴지는 또 다른 재미를 살펴보자.

두말할 나위 없이 가장 극적인 장면 맨 마지막 장면의 발신인이 누군지 모르는 메일의 스마트폰의 진동이지만 이에 대한 부연설명은 스포일러가 될 가능성이 크기에 궁금증만 남겨두고 다른 이야기로 넘어가자.

오카다가 미조구치와 일을 하다가 어느 순간 다른 사람의 눈에 흘리는 눈물이 아니라 기쁨을 보고자 지금 하는 일을 그만두고 떠난다고 할때, 이미 예상했다는 듯이 보내주는 미조구치의 모습에서 많은 생각을 해본다. 오카다가 아무런 망설임없이 자신의 마음이 가는대로 시도를 해볼수 있는 것은 젊다는 것보다는 가진것이 없기 때문이 아닐까? 아무것도 아닌 것인데 남들보다 조금 더 가지고 있다는 것이 우리 자신의 삶을 옥죄고 더 힘겹게 하는 것은 아닐까?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은 비움에서 온다는 말이 머리속을 스쳐지나간다.

오카다와 유미코 선생님과의 일에서는 오카다의 어릴적 학창시절의 일이지만 자신의 잘못된 행동은 꾸짖지만 자신의 존재가치를 인정해주었던 유미코 선생님을 위하여 벽에 낙서를 지우는 일에서나 스토커 같은 어른을 위해서 정면돌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사람에게서 믿음을 얻기란 사람의 잘못된 행동은 미워하되 결코 사람자체를 소홀히 대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알려준다. 우리 사회에서 주변 사람을 그 사람이 가진 외모, 부나 지위로 평가하거나 또는 학생들의 가치를 성적의 잣대만 들이대는 것을 비꼬는 것은 아닌지 하는 생각이 든다.

이런 모든 사회적인 이야기들을 조금은 다른 시각에서 풀어헤쳐가고 있으며, 마지막에는 멋들어진 반전으로 이야기를 갈무리하고 있다. 무거운 마음으로 시작한다면 조금은 무겁게,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한다면 즐겁고 가볍게 읽을 수 있지만 책장을 덮는 순간 가슴 한켠이 훈훈해져 오는 멋진 소설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