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베라는 남자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최민우 옮김 / 다산책방 / 201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제각각 차이는 있겠지만 나름대로의 정해진 기준이 있기 마련이다. 그 삶의 기준이 어떠하건간에 그것만으로 어떤 사람을 평가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보통사람과는 다른 기준의 사람을 만나게 되면 가까이 다가서기보다는 슬쩍 한발 물러서게 되는데, 우리가 만나게 될 오베라는 남자가 딱 그런 부류의 사람이다.

정해놓은 규칙은 무슨일이 있어도 지키며, 주변의 사람들에게도 그렇게 하기를 바라는 스타일의 성격이다. 남에게 피해를 입히지는 않지만 융통성은 전혀없는 까닭에 함께 있으면 불편하게 만드는 그런 부류의 사람이라고 할수 있다. 그렇지만 진정 그 속내를 들여다보면 누구보다도 더 깊은 정이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언제나 규칙적인 삶을 살아가며 자신의 일만 묵묵히 해나가며 주변에 결코 관심을 두지 않는 생활을 하지만 자신이 끔찍히 사랑하는 아내 소냐가 죽음을 맞는 그 이후로 그의 삶은 새로운 변화를 맞이한다. 사랑했던 아내의 죽음을 따라 생을 마감하려고 하지만 우연의 연속으로 주변 사람들과 새로운 관계를 맺어가면서 작은 사건들과 과거의 기억들을 연관지어 오베의 삶을 전체를 이해하게 해준다.

언제나 집주변을 어슬렁거리던 고양이가 눈구덩이에서 영양실조와 추위로 죽음직전에 이르게 되었을때, 이웃과 함께 발견하여 마지막 죽음에 이를때까지 오베와 동행하며 마치 아내 소냐의 마음을 고양이의 생각에 비추어 보여주고 있다. 상대를 위한 배려를 할때도 스스로가 하는 것이 아니라 아내 소냐가 있었더라면 그렇게 하지 않으면 잔소리를 할거라는 핑계를 대면서.

빠르게 발전해가는 현대사회에서는 자신의 생각을 남에게 스스로 알리고 묵묵히 일을 하는 것보다는 조금은 약삭빠르게 행동하는 것이 올바른 것처럼 여겨지는 이 세상에서 한시대 혹은 그 이전 세대의 묵묵히 일하는 아버지의 모습을 바라보는 것 같다. 나약함을 전혀 보이려고도 하지 않고, 그렇다고 자신의 일을 호들갑스레 드러내지도 않는 그런 모습이다. 그렇지만 자신이 세워 놓은 기준에서는 고집스럽게 한발짜국도 양보하지 않는 모습..

하지만 맨 마지막 순간 이웃집에 도둑이 드는 것을 보고 그들과 대처하다가 다쳐서 병원에 실려가는 동안 미운정 고운정이 든 이웃 파르바네의 절규와 눈물이 그의 삶이 어떠했는지 너무나도 잘 드러낸다. 그의 유언에 장례식을 단촐히 하라고 했지만, 혈육하나 없는 그의 장례식에 300명이 넘는 사람이 조문을 왔다는 것만으로도 그의 삶이 어떠했는지 충분히 짐작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심술궂고 고약한 노인네의 얼굴의 오베의 겉모습과 순진무구하고 따스하기 그지 없는 그의 마음 씀씀이가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어 마지막 순간까지 미소를 머금게 한다. 동시에 주변에 잔잔한 감동을 주면서 삶을 마감할 수 있는 그런 삶을 꿈꾸게 해준다. 책을 읽는 내내 아버지 생각이 머리를 떠나지 않는 것은 나만 그런 것인지 모르겠네요. 아마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아버지의 숨겨진 모습을 오베에게서 찾을 수 있을것 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