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문명 한국에 오다 - 인권학자 박찬운 교수의 로마문명 이야기
박찬운 지음 / 나남출판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양의 역사라고 하면 누구나 그리스-로마에서 그 기원을 찾는 다는 것은 알고 있다. 그러나, 로마사를 전공하지 않는 일반인들에게 로마가 가지는 의미가 무엇이며,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이며, 또한 역사적 사실은 무엇이고 배워야 할 것은 무엇인지 물어본다면 아마도 대부분 로마문명에 대하여 모른다고 할 것이다. 그저 먼나라의 과거 역사일뿐이다. 그렇지만 서양문명의 기초를 이루고 있으며 알게 모르게 우리에게 영향을 준 로마문명의 이야기를 역사적 사실에 입각하여 딱딱하게 기술하기 보다는 당시 로마의 간단한 배경과 더불어 현재 한국의 상황을 비교해가면서 저자의 생각을 드러내보이고 있다. 그러기에 머리속에 좀더 쉽게 각인이 되는 것일지도 모른다. 딱딱하고 지루할수도 있는 역사이야기이지만, 우리의 생활과 연관을 지으면서 리더가 가져야 할 자세라든지 정부나 위정자들이 가져야할 자세를 보여줌으로써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역사에서 진정으로 배워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로마는 크게 건축과 법과 건축에 있어서 세계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고 할수있는데, 건축에 있어서도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판테온을 들고 있다. 생뚱맞게 판테온이라니 뭔말인가 하겠지만 우리말로 해석하면 만신전(萬神殿) 정도로 해석될 수 있는데 로마 한복판에 있으며 주랑현관과 돔형의 로툰다로 구성된다. 또한번 뜽금없는 소리로 들리겠지만 주랑현관이라는 것은 경희대 본관이나 한양대학교 구 본관 건물의 중앙입구 건물처럼 여러개의 기둥으로 현관을 받치고 있는 구조이다. 쉽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돔형의 로툰다는 또 무엇인가? 건물 내부의 돔형구조를 만들어 주는 것으로 석굴암을 생각하면 판테온의 로툰다 미니어쳐쯤으로 생각하면 될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서 우리의 국회의사당과 독일 베를린 연방의회 의사당의 돔을 비교하면서 사회적인 문제를 툭하나 던지며 짧은 글을 맺고 있다. 독일의사당의 돔은 유리로 만들어진 돔으로 시민 누구나 저 돔에 올라가서 의원들의 의정활동을 볼수 있어서 의정활동이 시민에 의하여 감시된다는 상징물로 여겨진다니 우리의 국회의사당과 비교해보는 저자의 마음을 충분히 헤아려 봄직하다.

로마의 또하나의 상징 콜로세움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단순히 고대 유물로만 바라보지 않고 그 근원을 좀더 따져보자. 폭군으로도 유명한 네로 황제의 황금 궁전위에 세워진 콜로세움은 베스파시아누스 황제가 세운것으로 네로 황제이후 안정화되지 못한 사회에서 황제의 권위와 자비를 보여주기 위하여 폭군의 궁전을 허물고 시민이 열광할 수 있는 원형경기장을 세운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정치적인 안정화를 위해서 시민들의 관심을 스포츠로 돌리는 것이었을까? 잠실 주경기장 역시 콜레세움과 크게 다르지 않은 용도가 아닌가? 그렇지만 원형경기장의 초기의 목적은 모든 시민이 한가지 일을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볼수 있도록 하여서 일에 대한 판단이 정확해지도록 하기 위한 장치라고 한다. 오로지 한쪽 방향만 바라보고 수업을 하는 우리 사회의 교육과 다르다는 것은 조금 심한 비약일까?

"세상은 아는 만큼 보이고, 보이는 만큼 즐겁다"는 말이 있다. 단순히 지나쳐버리는 우리 주변에서도 로마문명의 흔적을 엿볼수 있고, 조금 더 나아가 로마문명을 직접 경험할때 그 의미를 알고 현재의 자신과 비교해 볼수 있다면 로마 문명을 접하는 것이 즐겁지 않을까? 저자의 생각과 독자의 생각이 일치할 수는 없겠지만 역사적 사실에 좀더 관심을 가진다면 저자와 비슷하거나 또 다른 관점을 가지고 세상을 바라볼수 있을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여행을 하고자 하지만 여행의 즐거움을 유적지 앞에서 사진찍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유적지 앞에서 차를 한잔 마시면서 배경에 대하여 이야기할 수 있다면 그 여행의 품격은 훨씬 높아지지 않을까? 로마 문명의 흔적은 전세계 어느 곳에도 다 있으니 이 책에 있는 것만이라도 알아둔다면 여행의 또다른 즐거움도 가질 수 있을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