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행복의 정복
버트란트 러셀 지음, 이순희 옮김 / 사회평론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자에게 직접 듣는 행복에 가까워지는 법! 철학은 삶에 가까울수록 빛이 나며, 철학자가 개인의 인간에게 집중할수록 위대하다. 마음과 생각을 다스려서 행복과 친구가 되어 행복을 소유하지 않는 (집착하지 않는) 태도를 알려준다. 여기서 정복을 단순히 뭔가를 무너뜨리고 소유하는 의미가 아니다. 내가 노력해서 얻는 어떤 것, 혹은 그 힘을 뜻한다. 중요한 건 정복의 대상이 아니라 그 대상으로 나아가는 성찰의 걸음이다. 매우 따뜻한 책이다. 나보다 연륜 있는 사람에게서 느끼는 가벼운 미소다. 행복해질 수 있을 테다. 행복을 느끼게 된다. 책을 읽는 순간마다 결국 삶을 살아가고 있는 자들은 “솔직학게” 정복할 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토리텔링의 비밀 - 아리스토텔레스와 영화
마이클 티어노 지음, 김윤철 옮김 / 아우라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쓰지 못하는 (혹은 쓸 마음이 없는) 글쓰기를 훔쳐보았다. 가슴이 두근거렸다. 질투와 불안, 흥분이었다. 함부로 글을 쓰고 싶다가도 자신감을 놓쳤다. 체계적, 계획적, 끈기와 거리를 둔 나로서는 당당하게 시간과 경험을 감당하지 않았다. 나를 깨부수고 외부의 존재들에게만 집중해야 하는 일이 두려웠다. 나를 잃고 싶지 않은 자만과 자기연민이다. 내 것을 키우고 그 안에 머무르려는 정적인 태도에서 비록 좁지만 깊은 글쓰기를 갈망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공부하거나 제대로 기획 된 글을 쓰고자 하는 사람에게 추천한다. 너무 깊게 감흥 받아 빨려 들지만 않는다면, 훌륭한 펜자루를 쥐어주는 책이다. 이제 쓰는 건 각자의 몫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랑스혁명에 관한 성찰 한길사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서양편 58
에드먼드 버크 지음, 이태숙 옮김 / 한길사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궁금했다. 보수주의의 성전으로 일컬어지는 버크의 책을 읽고 싶었다. 보수주의의 근원과 뿌리, 사고방식과 현실감각, 태도에 호기심이 실렸다. 안다면, 알아내기만 할 수 있다면, 균형잡힌 삶을 이룰 수 있지 않을까 기대했다. 책은 어려웠다. 30% 정도 이해했다면 다행일테다. 정치와 역사에 문외한 나로서는 책을 끝까지 완독하는 것으로 만족했다. 그러나 보수성의 큰 둘레는 둘러본 느낌이다. 전통과 역사에 대한 뿌리 깊은 믿음, 종교와 왕권의 절대성에 대한 강력한 지지, 오래 유지된 고유한 구조의 급격한 변화 불가능성 설토, 결국 자기의 것을 지키겠다는 의지의 발로인 셈인데, 아직 제대로 지켜야 할 역사와 전통이 명확하게다져지지 않은 우리나리에 진정한 의미의 보수주의는 발현되지 않았다. 다만 개개인대로 각자만의 보수가 상충되지 있을 뿐이다. 오랜 시간 동안 굳건하게 합의된 보수적 토양이 필요하다. 보수와 진보의 상충으로서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역사가 단단한 영국에게 부러움을 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대니얼 길버트 지음, 서은국 외 옮김 / 김영사 / 200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는 정도가 아니라, 행복에 걸려 넘어졌는데도 모르고 있었다. 인간 뇌에 대한 가감한 고찰. 이토록 어리석고 무지한 구조였다니. 인간이라는 자부심이 스르르 무너졌다. 인간임에 꿈꿀 수 있다는 미래도, 매우 불안정하고 치졸한 산물이었다. 현재를 감각하는 인간은 미래를 제대로 보고 느낄 수 없다. 단지 현재의 꿈이고 감각일 뿐이다. 그것이 뇌과학이 밝힌 실체다. 그럼에도 희망은 있다. 그래, 행복이 아니라 중요한 “희망”이다. 경험을 믿을 것! 나의 것 더하기 타인의 것(들)까지도.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경험의 힘에 “객관적으로” 귀를 기울여야 한다. 책을 많이 읽으라는 어른들의 충고도 헛된 말이 아니었다. 나를 깨고 외부와 관계 맺어야 한다. 끊임없이 새로운 자극과 지식으로 세상을 배워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 뇌의 모순을 알아내고 극복하여, 삶과 조화롭게 행복해지는 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퀸의 리드 싱어 프레디 머큐리 - 낯선 세상에 서서 보헤미안 랩소디를 노래하다 뮤진트리 뮤지션 시리즈 2
그레그 브룩스.사이먼 럽턴 지음, 문신원 옮김 / 뮤진트리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레디 머큐리, 참 멋지다! 뚜렷한 주관과 자기확신, 일면의 나르시즘과 선명한 현실인식이 균형을 맞춘다. 엉뚱한 예술가라고 불리기엔 그는 단단한 사업가이며, 뛰어난 기획자라고 하기엔 음악적 재능이 대단히 뛰어나다. 머큐리의 육성을 그대로 활자로 접하고 나니 그가 가깝게 느껴진다. 에이즈에 걸릴까 두려워했던 그가 그 병으로 세상을 등지다니, 안타깝다. 참 재미있는 친구며 한편으로 무서운 연인이었을 것 같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해가는 머큐리의 내면을 들어보니, 그도 나와 같은 인간임을 깊게 느꼈다. 정열적이고 아름다운 사람이 어느 한 지점에 머물렀고 풍부한 음색의 노래들을 곁에 두고 떠났다. 고맙다. 솔직하게 울어줘서 따뜻하다. 사는 게 생각보다 쉬운 일처럼 느껴진다. 그래, 그렇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