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근길 글쓰기 수업
배학수 지음 / 메이트북스 / 2019년 2월
평점 :
품절


글쓰기를 시작한 계기는 마음의 위로를 받기 위해서였다. 직장과 집을 오가며 기계적으로 살아가는 모습이 언제부턴가 싫증이 났다. 스트레스조차 풀 곳이 없어 그냥 떠안고 살았다. 어깨에 매달린 많은 짐들을 처분하지 못하고 무게에 짓눌리며 살았다. 돌파구가 필요했다. 그것이 바로 글쓰기였다. 마음을 글로 표현하며 하루를 정리해 나가니 숨통이 트이는 것 같았다. 그리고 글을 쓰는 횟수가 늘어날수록 인생에 변화가 오기 시작했다. 긍정적인 생각이 많아지고, 하루의 소중함을 알게 되었다. 그러면서 글쓰기는 여러 방면으로 확대되었다. 여행후기와 책을 읽고 난 후 서평을 쓰기 시작했으며, 영화를 보고 오면 감상후기를 남기게 되었다. 이렇게 글을 쓰면서 삶의 만족도는 커졌고, 더불어 글을 잘 쓰고 싶은 욕심도 생겨났다.

 

글쓰기 욕심은 독서로 이어지게 했다. 글쓰기 강좌도 생각했지만 지방에는 들을 기회가 거의 없다보니 쉽게 책을 찾게 된다. 그래서 읽은 책이 <퇴근 길 글쓰기 수업>이다. 개인적으로 쓰던 글이 장르로 본다면 ‘에세이’이다 보니 재미있는 에세이를 쓰는 법을 알려준다기에 덥석 이 책을 읽게 되었다. 그리고 내용을 살펴보니 글쓰기의 이론이 잘 정리되어 있었다. 하지만 한 번 읽고서는 쉽게 이해하질 못했다. 보통 글을 쓸 때 생각과 느낌대로 쓰던 습관이 있는데 어떤 형식에 맞춰야 한다고 하니 거부감이 조금 들었던 것 같다. 그런데 다시 읽고 정리를 해가니 에세이의 구조와 요소를 왜 설명하려고 했는지 이해가 되었다.

 

‘문단에는 논점문장, 지원문장, 종결문장이 존재한다.’ ‘에세이의 기본형은 설명에세이, 설득에세이, 서사에세이가 있다.’ 에세이의 구조는 서론, 본론, 결론으로 나뉘는데 ‘서론에는 낚싯바늘문장, 배경정보, 논지진술의 문장순서로 글을 쓴다.’ 모두 처음에는 생소한 내용들이었지만 이해하고 나니 제법 글쓰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확신이 들었다. 또한 이 에세이들을 혼합하거나 변형하면 비평, 보고서, 대입 및 자기소개서까지 쓸 수 있다고 하니 다양한 글을 자신 있게 쓸 수 있겠다. 저자가 글쓰기 교육에서 갖추어야 할 점을 이야기했을 때 ‘모든 종류의 글을 하나의 이론으로 쓸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이 맞구나 싶었다. 

 

글을 잘 쓰고 싶어서 읽게 된 책에서 도움은 많이 받았지만 당장 이 이론을 바탕으로 글을 쓰고자 하니 좀 어렵게 느껴진다. 글쓰기의 이론을 배우고 글쓰기를 실습하면 누구나 글을 잘 쓰게 된다는 저자의 말을 기억하면서 부단한 연습을 해야 할 것이다. 소소한 행복을 찾아주고, 위로를 해주는 글쓰기가 처음에는 부담스러울 수 있다. 하지만 이 책이 주는 글쓰기 노하우를 배운다면 글쓰기로 일상의 행복을 누릴 수 있다고 확신한다. 이 책을 읽는 모든 분들이 이 행복을 꼭 얻어가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