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소설은 정말 거기 있었을까 - 교과서 문학으로 떠나는 스토리 기행
정명섭.이가희.김효찬 지음 / 초록비책공방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고등학교 학창 시절엔 그렇게 책이 보기 싫더니, 그 시절이 지나고 나서는 책들이 그렇게 잘 읽힐수가 없다.

시간이 지난 후 생각해보니 공부를 위해 억지로 지루하게 읽어야 되는 교과서문학이 아닌

내가 읽고 싶은 문학이 되니 마음이 자연스럽게 변했던 것이 아닌가 같다.

뭐든 공부라 생각하고 책을 읽으면 부담감이 생기나보다. ^^

<그 소설은 정말 거기 있었을까> 이 책에는 교과서 문학을 대표하는 12편의 문학 이야기로 구성되어있다

교과서 문학으로 대표적인 책들을 20대부터 하나씩 하나씩 구매해서 읽었는데도, 여기에서 소개해주는 12편을 아직 다 읽지 못했다. 내가 읽어본책은 고작 12편중 7편이 전부였다.

<그 소설은 정말 거기 있었을까> 이 책을 통해 12편의 한국근현대문학 필독서들을 알아보려고 한다.


현대문학을 대표하는 거장 중 한명인 박완서님의 책 <나목>으로 책의 문학기행 출발점을 삼았다.

나목을 출발점 시작으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자전거 도둑> 까지박완서 작가의 책은 이렇게 세편이 수록되어있다. 그리고 조세희 작가의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김승옥 작가의 <서울, 1964겨울>, <역사> 두편과

채만식 작가의 <미스터 방>, 윤홍길 작가의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오정희 작가의 <중국인거리>

양귀자 작가의 <원미동 사람들>, 아동문학 최초로 200만권이 팔린 책 김중미 작가의 <괭이부리말 아이들>

황석영 작가의 <개밥바라기별> 책 까지 총 12편의 교과서 문학, 한국근현대문학 필독서들의 문학기행이다!

이 책에 수록된 12편의 한국문학은 중고등 교과서에 실린 문학작품 중에서도 지금 시대에 가장 울림이 크고

문학사에 큰 획을 그은 작품들을 선별해 실었다는 말이 제대로 느껴질 것이다.

우리가 문학에는 얻는 지식도 없는데, 왜 굳이 청소년시절부터 문학책을 읽어야 될까?라는 생각들을 해볼 것이다.

그러나 문학책을 읽다보면 책을 통해 인격과 성격이 형설될 수 있다고 본다.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것들을 또다른 눈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삶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그래서 어릴때부터 문학책을 읽는 것이 참으로 중요한 일인 것이다.

책을 읽지 않는 30대 어른보다 책을 많이 읽은 10대 아이가 더 많은 경험을 체험 할 수 있는 일이다. 책은 그런 효과가 있다.

<그 소설은 정말 거기 있었을까>에 소개된 근현대소설들의 시간적 배경은 1960~1970년대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 시대에는 산업화 시대이면서, 빈곤하고 가난했던 시기이다. 지금보다는 더 빈부격차가 컷던 시기이기도 하다

배경이 되는 시대가 이때였기에, 지금과는 사뭇 다른 그 시대를 느껴볼 수 있을 것이다.



첫 페이지마다 작가에 대한 소개와 책의 역사적 배경에 대해 소개해준다.

책을 읽어보지 못한 독자들이라도, 작품 소개를 통해 그 책의 간단한 줄거리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작품 소개를 읽고 넘기면, 문학 답사기가 시작된다. 교과서 문학이라고 하면 뭔가 좀 답답함이 일어날 수도 있다.

청소년문학을 지금 꼭 읽어야 되는 학생들에게는 수능을 잘 보기 위해 꼭 읽어야 되는 책? 이라는 생각을 버리고

<그 소설은 정말 거기 있었을까> 의 저자 세분이 우리에게 교과서 문학을 좀 더 재미있게 이해하고,

책 읽는 시간이 지루하지 않게 알아가도록 해주고 있으니, 이 책을 먼저 읽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그래서 문학 답사 여행기 이 책의 의미가 참 좋은 것 같다.

소설의 배경이 되는 곳을 직접 찾아가 본다. 시간이 많으 흘렀지만, 그곳을 가서 그 시절을 그려본다.

지금은 많이 변해서 흔적조차 남아있지 않은 곳이 대부분이지만, 상상력을 끌어올려 또 다른 세상을 그려볼 수 있다.

문학을 좀 더 폭넓게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야기가 있고, 그 곳에서 찍은 사진이 있고, 일러스트까지 담아 그림이 있는 문학 기행 지루할 틈 없이 책장을 넘길 수 있어서 너무나 좋다. 서울이 배경 장소인 곳이 많았다.

지방에 사는 사람으로써는 서울이라는 곳이 아직은 많이 가보지 않은 곳이라서 그런지 책 속에 과거와 현재를 함께 볼 수 있는 사진들 또한 볼거리를 제공해주고 있다. 풍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책을 쓴 작가님 세분이 많은 이야기를 독자들에게 전해주려고 고생한 노력이 보였다. 실제로 12편의 현대문학단편은 작가들이 그 시대를 살면서 경험했던 이야기, 실제의 이야기들이 많다. 그래서 더더욱 책을 읽는 내내 작가의 삶속으로 스며드는 듯 했었다.

민감하면서도 어려운 그 시절의 이야기를 책을 통해 읽다보면 우리가 바라보는 문학의 관점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예전에 읽었던 책들을 다시 기억하면서 이 책을 읽어보니 읽어보지 못한 책들은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이책들의 배경이 되었던 장소에 가보고싶어진다. 모두 가볼순 없겠지만, 한곳 한곳 가보면 언젠가는 모두 가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우리 청소년들이 시험점수를 잘 받기 위해, 억지로 읽어야 되는 문학작품들이 아닌 문학 그 자체의 매력을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다. 나 역시 학창시절엔 그렇지 못했지만, 지금은 책을 읽는 즐거움을 만끽하고 매력을 느끼고 있다.

<그 소설은 정말 거기 있었을까> 문학기행을 통해 역사적 공간속으로 함께 들어가보자!!




#초록비책공방 #그소설은정말거기있었을까 ​#문학기행 #교과서문학 #교과서수록소설 #청소년문학 #한국문학 #근현대소설

#현대문학단편 #한국근현대문학필독서 #책세상 #맘수다 #책세상맘수다까페 #박완서 #나목 #그많던싱아는누가다 먹었을까

#자전거도둑 #조세희 #난장이가쏘아올린작은공 #김승옥 #서울 1964겨울 #역사 #채만식 #미스터방 #윤홍길

#아홉켤레의구두로남은사내 #오정희 #중국인거리 #양귀자 #원미동사람들 #김중미

#괭이부리말아이들 #황석영 #개밥바라기별



이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개인적인 서평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