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표 - 교유서가 소설 2022 경기예술지원 문학창작지원 선정작
이대연 지음 / 교유서가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유서가에서 경기문화재단 2022년 경기예술지원문화창작 선정작 10종

선정작 10종 중 마지막 소설 '부표'


삶과 죽음, 고요와 침묵 사이

세상에 꺼지지 않을 불빛 하나를 띄우다





'부표'

아버지의 장례를 치르고 자신의 삶이 있는 바다로 온 주인공

그는 수명이 다한 부표를 끌어올려, 새로운 부표로 교체하는 일을 하고있다.

인양선 크레인으로 하는 일이지만, 작업자들은 배 위에서 자신의 위치에서 해야 될 일들 또한 있다.

부표들 조차도 있어야 될 위치가 있다. 바다 깊은곳에서 쇠사슬로 얽히고 얽혀있다.

부표가 얽히고 얽혀있는 것, 자신의 자리가 있는 것이 우리 인간의 삶과 별반 다르게 느껴지지 않았다!

배 위에서 이루어지는 부표 교체 작업은 누구 하나 실수를 하게 되면 바로 죽음으로 연결된다. 그만큼 위험한 작업이다.

일확천금을 누리며, 늘 돈을 벌러 나간다고 했던 아버지를 자주 보지도 못했었다.

그렇다고 해서, 한번씩 올때마다 생활비를 주고 간적도 없다.

그런 아버지가 교통사고로 돌아가셨다는 부고를 듣고 나서도, 주인공은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런데 왜 주인공은 자꾸만 돌아가신 아버지 생각이 나는 것일까? 아버지의 삶이 자신의 삶인 것 같아 보였기 때문일까?

예상치 못한 죽음 앞에 인간의 생과 사는 우리가 결정 지을 수 없는 것을 책을 읽으며 깨닫게 된다.

'전' 역사소설이라고도 할 수 있는 단편 '전' 역사 속 실제 존재했던 인물들 이야기로, 허구가 살짝 가미가 된 듯 하다. 조성 중기의 문신 배대유라는 인물의 시점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배대유의 방 안으로 늦은 밤 한남자가 들어온다. 목소리 만으로도 그는 그가 무명이라는 것을 안다. 무명 그는 배대유를 살리고, 죽였던 인물이다. 그가 배대유에게 졸기(망자에게 쓰는 전기) 를 써 달라고 부탁한다. 죽은자의 졸기를 쓰는 것이 그리 쉽게 써지지는 않을 것이다. 졸기를 쓰는 동안 망자의 생과 사를 다시 그려본다. 늦은밤 고요한 침묵 속에서 나는 배대유가 되어, 무명이 되어 삶과 죽음을 생각해본다! ​ 배의 안전 항행을 알려주는 부표처럼 인생도 안전한 인생 항로를 알려주는 무언가가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해본다.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인간의 가치에 대한 생각도 함께~



√부표 (浮標) : 물 위에 띄워 어떤 표적으로 삼는 물건 / 배의 안전 항행을 위하여 설치하는 항로 표지의 하나

#교유서가 #이대연 #부표 #경기문화재단 #2022년경기예술지원 #문화창작선정작

#삶 #죽음 #바다 #고요 #침묵 #인생항로 #생과사 #단편소설 #신간 #무상제공 #서평 #협찬 #책과콩나무

이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개인적인 서평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