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더의 각성 STRONG LEADERSHIP - 위기의 한국 기업, 스트롱 리더십이 답이다!
김용섭 지음 / 퍼블리온 / 2024년 4월
평점 :
위기의 한국 기업, 스트롱 리더십이 답이다! 과감하게 행동하라.??
"리더의 각성"
<리더의 각성>의 저자 김용섭 작가
트렌드 인사이트를 연구하는 '날카로운 상상력 연구소' 소장.
트렌드 분석가이자 경영전략 컨설턴트, 비즈니스 창의력 연구가다.
강한 리더십은 어떻게 새로운 경영 트렌드로 선택되었을까?
2024년 한국 경제는 위기다.
저성장의 시대 한국 기업들이 어떻게 경영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지금이 기업의 경영 리더의 강한 리더십이 필요한 시기다.
불확실성과 급변하는 시대, 경영의 방향,
리더십의 핵심이 바뀌었다.
P.60 기업의 성과와 성장이 최우선이 되어야 한다.
살아남기 위해선 아픈 손가락을 과감히 자를 수 있어야 하고,
익숙하던 관성을 과감히 버리고,
안정이라는 나약함에 빠지지 않고,
위기를 정면돌파하며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선 리더부터 바꿔야 한다.
리더가 각성해야 한다.
변화를 주기 위해 기존 기득권들의 익숙한 관성을
버리게 만들다 보면 변화에 저항하고 반발하는 이들이 많다.
리더는 조직에서 변화에 저항하고 반발하는 이들과 싸워야 한다.
이들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하면 '무능한 리더'가 된다.
P.260 인재들이 퇴사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자신이 성장하지 않는다고 느꼈을 때다.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조사한
MZ세대 직장인이 '선호하는 직장상사 및 기업문화'
피드백이 명확한 상사
솔선수범하는 상사
실무에 능숙한 상사
동기를 부여하는 상사
공정한 상사
공사 구분이 철저한 상사
일 잘하는 상사를 선호했다.
성과주의, 능력주의 강화는 직원에게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리더에게 가장 먼저 적용되어야 한다.
스트롱 리더십이라 쓰고 투명성 리더십이라 읽는다.
2030 인재들은 더더욱 투명하고 공정하게 평가받고 보상받길 원한다.
"리더는 One of them 이 아니라 대체 불가한 One & Only 다"
리더가 대체 불가한 One & Only 여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책임을 져야 하기 때문이다.
책임을 지는 자가 결단을 하고, 목숨 걸고 싸울 수 있는 자다.?
위기와 변화의 시대를 이끌 강한 리더가 되기 위한 리더의 역량
지금 당신은 어떤 리더인가??
스스로에게 답을 하라.
그리고 행동하라.
** 퍼블리온 서포터즈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한 솔직한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