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후안 데 파레하 - 신분을 초월한 사제지간의 우정과 예술이야기
엘리자베스 보튼 데 트레비뇨 지음, 김우창 옮김 / 다른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엘리자베스 보튼 데 트레비뇨 지음

다른 출판사 펴냄

역사 속에 존재했던 인물, 혹은 사건에 작가의 상상력으로 재창조과정을 거쳐
영화, 드라마, 소설등 이른바 팩션이 강세를 이루는 현실이다.
<나, 후안 데 파레하>도 화가 벨라스케스와
후안 데 파레하 사이에 전해오는 약간의 실화와
두 화가가 남긴 작품을 근간으로
작가 엘리자베스 보튼 데 트레비뇨의 상상력을 통해 탄생한 책이다.

이 책은 후안 데 파레하의 전기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노예 신분의 후안 데 파레하가 화가 벨라스케스를 만나
바람직한 인간적 교류를 통해 화가가 되고 종래는
노예 신분에서 벗어난다는 아름다운 이야기이다.

책을 읽는 동안 내내 머릿속에 떠돈 생각은
금지된 욕망의 성취욕에 대한 절실함이었다.
그림이나 음악이나 문학등 여타의 걸작들은 대개
충분한 여건 속에서 탄생하는 확률보다
넘볼 수 없는 간절함 속에서 창조되는 경우가 많다.

스페인에서는 노예가 그림을 업으로 삼을 수 없다.
후안 데 파레하는 노예 신분으로 주인인 벨라스케스를 충심으로 섬기면서
오랜 세월동안 그림을 그리고 싶은 욕구에 갈등한다.
끝내는 주인 몰래 물감을 훔쳐서까지 몰래 그림을 그리면서
내적 갈등을 겪게 된다.

그래도 그림에 대한 열정을 멈출 수가 없다. 고해성사를 하면서까지
자신의 욕구를 포기하지 않으면서 주인에게 더 없는 충성을 바친다.
마침내 자신이 그린 그림을 국왕에게 발각되는 순간
후안 데 파레하는 진심으로 자기 죄를 인정하고 처벌을 기다린다.
바로 그 순간 벨라스케스는 국왕에게 후안 데 파레하를 노예의 신분에서
자유인으로 해방시켜 마침내 동료로 인정한다.
이로서 두 화가의 진정한 인간적 교류가 승리하는 것이다.

요즘 아이들의 절실함은 과연 무엇일까?
물질만능의 시대에 우리의 아이들은 대부분
고차원적인 절실함이 별로 없는 유년기 청소년기를 보내고 있는 지도 모른다.
고작 아이들의 꿈이 값비싼 게임기를 갖거나
메이커 옷을 입거나 돈으로 살 수 있는 돈의 많고 적음으로 해결할 수 있는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는 않은지
기성세대의 근시안적 잣대로 아이들의 고고한 꿈을 상실하게 하지는 않는지
이 책을 읽으며 내내 생각한 화두이다.

우리 어린이 혹은 청소년들이
좀 더 깊게
좀 더 절실하게
조금 은 더 아프게라도
앞으로 살아내야 할 견고한 삶의 예방주사를 맞는 기분으로
삶의 진정성에 대해 생각하는 계기로 이 책을 읽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