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황석희 - 번역가의 영화적 일상 에세이
황석희 지음 / 달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민성 이죽거림과 비아냥을 습관처럼 손가락과 입에 달고 살고, 남을 모욕하거나 상처를 주려 할 때 언어를 실체가 있는 무기처럼 점점 구체화하여 사용한다. 우린 갈수록 잔인해지고 과격해진다. 아니다, 그것만도 못하게 갈수록 비열하고 저열해진다. 우린 어쩌다 이렇게 후진 사람이 되어가는 걸까.



....모든 사람에게 살갑게 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일부러 상대를 아프게 할 필요는 없더라. 살면서 만나는 모든 사람은 저마다 당신과의 마지막날이 있다. 다만 그게 언제일지는 모른다. 그래서라도 소중한 사람에겐 물론이고 아무리 싫은 사람이라도 마지막 인사는 무던히 하는 게 좋다. 억지로 상냥하게 대할 필요는 없지만 일부러 상처를 줄 필요도 없다. 그저 덤덤하게 후회가 남지 않을 만큼은 인사하자.

마지막일지도 모르니까.



...˝때로 문학적인 담론의 지점을 넘어 이 책의 ‘영광’이 과연 누구의 것인가를 질문하며 어느 한쪽을 선택해 공격하거나 배제하는 양상이 나타나기도 했는데요. 실은 모두가 알다시피 문학은 성공과 영광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문학은 사업이 아니고, 문학 작품은 사업적 결과물이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덧없는 것이고, 그 덧없음의 힘으로 진실과 직면하는 것이고, 세계와 싸우며 동시에 말을 거는 것입니다.˝




....아직도 시간을 낭비할 용기가 없는 나는, 이렇게 못 이긴 척 상상의 손을 잡고서라도 낭비할 시간이 있다고 믿고 싶다. 가끔은 누군가 아직 낭비할 시간이 있다고 말해주면 참 좋겠다.



...˝네 말이 맞는다. 인제 꼭 맞춤법에 맞게 쓰길 바라.”
정말로 이런 자막이 나와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걸까? 자막은 글이 아니라 말인데 늘 글의 규칙을 강요받는다. 하지만 클라이언트에게도 소비자에게도 그 점을 납득시키기가 쉽지 않다. 이미 언중에 의해 널리 쓰이는 말들을 캠페인을 통해, 개개인의 지적을 통해 바로잡아 돌이키는 게 가능한 일인가? 언제가 되건 언중이 입말에서 ‘바라’ ‘인제’ ‘맞는다’ 같은 것들을 사용하게 될 확률은 제로에 가깝다. 이럴 때면 언어는 인간이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있는 것 같기도 하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거대하고 철학적이고 유기적인 존재라는 거다. 인간의 힘으로 어찌 할 수 있는 게 아닐지 모른다. 어쩌면 언어의 복원력과 창조력, 생명력, 적응력 등을 가장 무시하는 건 오히려 언어를 약하디약한 아기처럼 귀히 떠받드는 사람들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